산업동향
바이오플라스틱 시장동향 [BIO ECONOMY BRIEF]
- 등록일2020-07-09
- 조회수559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7-02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플라스틱
- 첨부파일
[BIO ECONOMY BRIEF]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동향
주예령 주임(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주정찬 박사(화학연구원)
□ 바이오플라스틱의 필요성
플라스틱 생산량 (1950-2015, 83억 톤)의 78%인 63억 톤이 플라스틱 폐기물로 발생했으나 9%만 재활용이 되고 12%는 소각, 79%는 매립 또는 투기되었고, 현재의 플라스틱 소비 형태를 유지할 경우, 2050년에는 연간 11억 톤 플라스틱을 전체 석유의 20%를 소비하여 생산됨.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해 인류 생존에 위협이 됨에 따라 플라스틱의 사용을 절감하거나 환경친화적인 바이오플라스틱의 활용이 증대됨.
바이오플라스틱은 탄소 중립형 식물자원인 바이오매스가 원료에 포함된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바이오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의 함량과 생분해성 여부에 따라 제품군을 분류할 수 있음.
최근 지구온난화 예방을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탄소 저감이 화두가 되며 바이오플라스틱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
또한,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제품이 출시되며 일부 일회용품이나 산업용 제품에 국한되던 바이오플라스틱의 범주가 전자제품, 생활용품, 섬유제품 등으로 넓어지면서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 중임.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석유화학 제품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100배 가까이 감소할 수 있어, 바이오플라스틱의 필요성이 대두됨.
□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정책
전 세계적으로 폐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화되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규제를 강화하고 있음.
해양 오염의 85%는 플라스틱에 의한 것으로 유럽 연합은 이를 방지하고자 202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ex, 빨대, 포크, 나이프, 접시 및 컵)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승인함.
2018년 국내 환경부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50% 감축하고 재활용률을 기존 34%에서 70%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생산, 소비, 배출, 수거 그리고 재활용에 대한 종합대책을 추진을 발표함.
현재 프랑스, 이탈리아, 인도, UAE, 파키스탄 등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 (Oxo-degradable bioplastic) 포장재 사용에 대한 법령을 제정하고 있음.
2015년 프랑스 정부는 2017 년 1월 1일부터 과일 및 야채 봉지뿐만 아니라 일부 유형의 포장재에 퇴비화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에너지 전환 및 녹색 성장에 관한 법률을 채택함.
EU에서는 플라스틱 면봉, 빨대, 풍선 막대, 그릇, 식기, 음료 막대, 병, 물티슈, 봉지, 포장지 등 일반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10개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2021부터 발효하여, 2025년까지 각 회원국은 전체 유통되는 플라스틱 음료수 병 중 90% 이상을 수거해야 함.
EU의 플라스틱 전략은 △플라스틱 제품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감축 △투자 및 혁신 유도 △글로벌 대응으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재활용 산업 분야에서 2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제시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新트렌드
-
다음글
- 2020년 산업기술통계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