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GBSA Review] 집안으로 들어온 스마트팜 (2020 Vol.20)

  • 등록일2020-07-16
  • 조회수48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7-13
  • 출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팜#ICT
  • 첨부파일

[GBSA Review]

'집안으로 들어온 스마트팜'


개요

ㅁ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ㆍ축사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ㆍ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ㆍ관리할 수 있는 농장

- 최적의 생육환경을 ICT를 활용해 조성함으로써 노동력ㆍ에너지ㆍ양분 등을 종전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 제고가 가능


3세대 스마트팜 개요도.PNG


 ㅁ 스마트팜 기술은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발전해 왔으며, 향후 4차 산업혁명을 통해 혁신형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


4차산업혁명과 농업생산 혁신전략.PNG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팜 기술 분야


① Smart Sensing and Monitoring

ㅇ 기후정보, 환경정보, 생육정보를 정밀하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측정, 수집, 기록하는 분야

ㅇ 피노믹스(Phenomics)를 이용한 영상처리 기술, 나노센싱 기술로 스마트팜 내 복합환경 데이터 수집 및 감시, 비파괴적 분석을 통한 식물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병ㆍ충의 발생, 영양 및 수분 결핍 등) 모니터링,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확량 모니터링과 노지의 지도화, 작물탐색, 기후 추적 등 가능


② Smart analysis and Planning

ㅇ 센서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영농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분야

ㅇ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생육진단과 처방, 병해충 예측 분석, 고품질과 안정성을 위한 수확 후 관리, 소비자 니즈분석을 통한 생육환경 반영


③ Smart Control

ㅇ 분석된 데이터와 의사결정을 종합 연산하여 자동ㆍ원격으로 농잡억 수행 분야

ㅇ IoT와 빅데이터, 데이터분석 클라우드, 로봇 등을 활용한 복합환경 및 정밀 생육환경 제어가 가능하고 인건비와 광열비 절감을 위한 파종ㆍ수확 자동화 제어, 에너지 통합 관리 제어, 데이터 관리 및 제어 등이 가능

 

스마트팜의 cyber-physical management cycle.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