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BIO ECONOMY BRIEF] 2020 BIO Digital 라이센싱 트렌드

  • 등록일2020-08-25
  • 조회수442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8-20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BIO USA#컨퍼런스#코로나19
  • 첨부파일

 

[BIO ECONOMY BRIEF]

 

'BIO Digital 2020' 라이센싱 트렌드

 

임지윤 주임 (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백대우 박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개요

BIO USA는 전세계 각국에서 열리는 BIO 컨퍼런스 중 최대 규모로 전세계에서 매년 수천개의 바이오 저문 기업들이 모여들어 수요 기업과 공급 기관이 네트워킹 할 수 있게 함. 주로 신약 개발, 바이오제조, 유전체학, 바이오 연료, 나노 기술 및 세포 치료를 포함한 광범위한 생명 과학 및 응용 분야의 기술들을 다루는 글로벌 제약기업 및 바이오텍 벤처기업, 대학, 연구소, 스타트업 등이 참여함.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적, 학술적 분야를 다루었던 기존의 학회들과는 다르게 개발된 기술들의 실질적인 상용화를 이룩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어 기업간의 네트워킹과 비즈니스 성격이 강한 컨퍼런스라고 볼 수 있음.

 

 

1.png

 

 

출처 :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Philadelphia

 

2019년도의 BIO컨퍼런스는 필라델피아에서 진행되었으며 76개국에서 16,000명 이상의 생명공학 및 제약업계 지도자들이 참가하여 미래유망 기술을 물색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하는등의 기회를 제공함. 약 7,000개의 크고 작은 기업들이 참가하였으며 그 중 1,800개 기업이 전시회에도 참가하여 생명과학 및 제약 업계의 신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도모 하였음. 이 외에도 바이오텍 기업에서 개발한 기술들을 살펴볼 수 있는 company presentation session 및 제약 및바이오 연구자들 간의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education session, 글로벌 제약기업 지도자들의경험을 엿볼 수 있는 speaker session 등이 진행되었음.

 

전세계 기업들이 BIO 컨퍼런스에 몰려드는 이유 중 하나는 One-on-one Partnering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라이센싱을 희망하는 기업들끼리 직접적으로 1:1 미팅을 진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기술이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빅 파마라고 불리는 글로벌 제약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인데, 올해는 COVID 판데믹으로 인해 BIO 컨퍼런스를 디지털로 변경하여 One-on-one Partnering도 온라인으로 수행되었으며, 각국에서 참여하는 기업들을 위해시차에 따른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미팅 가능한 시간을 24시간 개방하여 스케줄을 조정할 수있도록 함.

 

BIO Digital로 전환하면서 전시회를 통해 기업의 기술을 전시하거나 company presentation을 통해 참가 기업들을 노출 시킬 수 있는 기회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작년 대비 파트너링 참가 기업 및 인원수는 줄어들었으나 미팅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파트너링 스케줄 또한 24시간으로 확장 되어 성사되는 미팅 수가 증가함. 회사 기술 등을 소개할 수 있는 company presentation에 최 종으로 참여한 기업(기관) 수는 342개였음.

 


2.png

출처 : BIO Digital One-on-one Partneri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