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콜롬비아 제약/의료 산업

  • 등록일2020-09-08
  • 조회수43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콜롬비아 제약/의료 산업

 
김다희 콜롬비아 보고타무역관

 

가. 산업 개관 및 특성

 

□ 제약 및 의료 산업 개요

  ㅇ 콜롬비아 제약 시장 중남미 국가 중 5위

    - 콜롬비아 제약시장은 중남미 전체 국가 중 5번째로 큰 시장으로 2019년 기준 제약시장 총 매출액은 약 48억 달러

    - 의료산업의 경우 2019년 기준 약 242억 달러가치의 시장 보유. 그 중 공공의료분야 지출이 72.4%, 민간 의료기관 지출은 전체 27.6%를 차지

 

 

□ 주요 기업 현황 

  ㅇ 콜롬비아  주요 제약/의료 기업 

    - 1977년 바랑키야(Barranquilla)시에 설립된 PROCAPS사와 1989년 보고타(Bogota)시에 설립된 La Sante사가 대표적인 콜롬비아 제약 기업

    - 대표 의료 기업으로는 1957년에 설립된 Colsubsidio사와 1977년 설립된 Compensar사가 있음.

 

□ 제약·의료 규제 

  ㅇ 제약·의료분야 제품 INVIMA 등록 필수

    - 콜롬비아는 국립식품의약품감시원(INVIMA)를 통해 콜롬비아 내에서 제조·수입되는 제약품이나 의료용품에 대한 위생 인증 필수

 

□ 주요 이슈 및 동향

   ㅇ 불법·밀수 의약품의 유입

    - 콜롬비아는 아직까지 불법·밀수 의약품의 유입이 잦은 국가 중 하나로 2020년 3월 리오아차(Rioacha)와 마이카이(Maicai) 시당국은 80억 페소 (약 200만 달러)상당의 불법 의약품 2건을 압수

    - 콜롬비아 관세청 DIAN은 같은 시기 북세사르주(Norte de Cesar)에서 밀수로 들여온 미국산 항생제와 소염제를 압수하는 등 계속해서 불법·밀수 의약품의 유입되고 있음.

 

  ㅇ 콜 정부 의약품 가격 통제

    - 콜롬비아 정부는 계속해서 가격이 인상되는 의약품들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가격을 직접 통제하고 있음.

    - 2018년 피임약, 고혈압 및 정신 건강 장애 치료용 의약품 포함 총 1,645개의 의약품에 대한 가격을 인하·통제를 발표하면서 현재 총 2,624개의 의약품이 콜 정부에 의해 가격이 인하되었음.

 

 

나. 산업의 수급 현황

 

□ 주요 무역 수치

 

  ㅇ 콜롬비아는 의약품 판매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의약품 지출 증가로 의료 지출액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의료 민영화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콜롬비아 의료서비스 시스템 상 모두 큰 변화 없이 시장 유지 중

 

콜롬비아 최근 3년간 분야별 의약품 판매액 현황

(단위: 십억 달러)

 

2017

2018

2019

처방 의약품

3.3

3.7

4.1

특허 의약품

1.5

1.7

1.9

제네릭 의약품

1.7

1.9

2.1

일반 의약품

0.6

0.7

0.7

자료: Fitch Solutions(2020.3Q)

 

 

콜롬비아 최근 3년간 종류별 의료 지출액 현황

(단위: 십억 달러)

 

 

2017

2018

2019

정부 의료 지출

16.5

17.9

17.5

민간 의료 지출

5.9

6.6

6.6

 

자료: Fitch Solutions(2020.3Q)

 

  ㅇ 2020년 상반기 기준, 콜롬비아산 의약품 전체 수출액의 약 30%를 에콰도르로 수출

 

 

콜롬비아HS Code 30기준 최근 3년간 의약품 수출액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2017

2018

2019

2020. 상반기

수출액

351

350

359

169

자료: GTA

 

 ㅇ 2020년 상반기 기준, 미국, 독일로부터 전체 의약품 수입액의 약 35%를 수입

 

 

콜롬비아HS Code 30기준 최근 3년간 수입액 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17

2018

2019

2020. 상반기

수입액

2,191

2,394

2,658

1,236

자료: GTA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콜롬비아 내 의료케어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비영리 조직 증가

·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제약 판매 시장

·  제네릭 수요를 주도하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국가 투자 증가

· 지속적인 재정문제를 겪는 건강 보험 시스템

· 콜롬비아 내 생산 의약품보다 수입 의약품의 의존성이 강함.

·  의료분야의 잦은 파업

Opportunities

Threats

·  시민들의 소득 증가로 인해 고급 의약품 및 종합 건강 보험 가입 증가 추세

·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전염성 질환 증가로 인한 시스템 부담 증가

·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의약품 가격

·  멕시코나 브라질에 비해 작은 소비 시장과 제조 인프라

 

 

 

□ 유망분야

 

  ㅇ 제약 분야 대마초 제품 성장 가능성 보유

    - 콜롬비아는 2019년 7월 영국으로 첫 의약용 대마초 제품 수출을 시작으로 콜롬비아에서 제조되는 대마초를 의약용으로 수출하고자 다양한 정부지원 및 관리를 실시하고 있음. 

    - 또한 콜 법무부는 2020년 상반기에는 미국 덴버로 대마초 씨앗 200만 개의 수출을 허가한 바 있음.

    - 이 새로운 수출 사업을 통해 콜롬비아 내 불법 대마초 산업을 통제하고, 더 나아가 국가 경제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열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 콜롬비아에서 수출되고 있는 의료용 대마초 품질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의료용 대마초 취급 국가들을 대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출 증가의 영향으로 관련 농기계 수입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자료: Fitch solutions()2020.3q), 콜롬비아 보건부(Ministerio de Salud), 콜롬비아 법무부(Ministerio de Justicia), INVIMA, GTA, 각종 언론사(El tiempo, semana, El dinero, el portafolio), KOTRA 보고타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