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59 (2020.08.18)

  • 등록일2020-09-11
  • 조회수412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8-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개발#헬스케어#보건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59, 2020.8.18)

 

 
◈ 포커스
- 글로벌 주요 제약업체의 백신개발 동향
 
◈ 디지털 헬스케어
- 영국 Sheffield 대학, AI 기반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연구결과 발표
- 독일 Bitcom 설문조사, 환자 대다수가 의료 디지털화 촉진 요구
- 인도의 전략, 제약 산업을 변화시키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
- 방대한 데이터 활용, 헬스케어 분야의 파괴적 혁신 주도
- 헬스케어 분야, ML·DL·AI의 규정화와 효율성 제고
- Thryve 등 3사, 화장품과 헬스케어 산업에 변혁을 제공
 
◈ 4대 보건산업
- AAIC 2020, 백신의 알츠하이머 위험 감소 연구결과 발표
- 영국 정부, 백신 및 유전자 치료제 시설에 1억 파운드 투자 예정
- 스웨덴의 집단면역, 여전히 논란의 여지를 제공
- EC, 미국 길리어드사의 렘데시비르 물량 확보
- 일본, COVID-19로 인한 공적의료보험 재정 악화 우려
- 로봇지원 수술, COVID-19 위기로 급격히 감소
- 화장품 산업, 면역력 강화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성장할 전망
- 인구 고령화, 장기간호 시스템의 개선 필요성 제기
 

 

 

 

글로벌 주요 제약업체의 백신개발 동향

 

각국의 과학자, 제약회사, 정부는 COVID-19 위기 극복을 위해 백신개발에 전례없이 과감한 투자와 속도로 움직이고 있으며, 향후 6개월에서 9개월 이후에는 수많은 데이터, 임상결과, 새로운 이슈들이 발생할 경우 추적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미국 의약전문매체 바이오파마 바이브(BioPharma Dive)社는 현재 백신개발 파이프라인에서 가장 선진적이고 유망하고 자금 지원을 충분히 받고 있는 백신개발 제약없체의 12개사를 선정하여 최근 동향을 소개

 

 

[1] 개요

 

□ 미국의 공격적인 자금지원과 R&D에 힘입어 최초의 성공적인 백신이 미국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지만 영국의 옥스포드 대학과 중국의 CanSino 프로젝트 등도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행

 

ㆍ현재 개발되고 있는 백신은

△mRNA 백신, △비증식 바이러스성 전달체(Non-replicating viral vector)백신, △단백질 백신(Protein-type) △DNA 백신 △비활성화된 바이러스(Inactivated virus) 백신 △증식 바이러스성 전달체 백신(Replicating viral vector) 등으로 구분
* mRNA, DNA, vector 활용 백신 등은 유전물질에 항원 정보를 담아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며, 단백질 백신은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을 항원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며, 비활성화된 바이러스를 이용해 면역 반응을 유도
 
 
[2] 미국 주요 제약업체의 백신개발 동향

□ 미국 트럼프 정부는 늦어도 연말 또는 내년 초에 COVID-19 백신유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초고석 작전(Operation Warp Speed)' 프로그램을 발표하였고 지금까지 7개의 후보 제약업체에게 80억 달러 이상의 자금과 지원을 약속
* 7개 회사 : 모더나, 존슨앤존슨,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바이오엔텍, 머크앤컴퍼니, 이노비오, 노바백스 등
ㆍ(모더나) mRNA 기술은 세포가 특정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지시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기존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백신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7월 27일 임상3상을 개시하여 COVID-19 백신개발의 성과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제약업체
ㆍ(이노비오) DNA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중화항체를 생성하고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20년 여름 임상 2/3상을 실시할 예정
ㆍ(노바박스) 면역 반응을 자극하기 위해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복사본을 몸 안으로 직접 투입하는 백신을 개발하는 Novavax는 '20년 5월 비영리기관 CEPI로부터 3억 8,800만 달러를 지원받았으며, 7월에는 미국 정부튼 백신개발 임상 최종단계에 16억 달러 지원을 보장
ㆍ(머크앤컴퍼니) 백신개발 경쟁에 늦게 참여했으나 전염병에 대한 의약품 및 백신을 개발한 실적이 있으며 세계적인 규모 백신 제조 기반 보유 기업
ㆍ(존슨앤존슨) 대규모 제약업체 중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추진한 최초의 기업으로 '20년 1월말 백신개발 계획을 발표하였으나 신중한 접근방식을 채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