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2(2020.09.07)

  • 등록일2020-10-15
  • 조회수38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9-0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코로나#COVID#보건산업#헬스케어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2(2020.09.07)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
 
◈ 포커스
  - 인도, COVID-19로 원격의료에 대한 기대감 고조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대기업, ’21년 원격 정신 건강 서비스 채택을 가속화할 전망
  - 미국 웨어러블업체 Fitbit, COVID-19 증상 이전 탐지 가능
  - 영국 BenevolentAI, AI를 활용하여 COVID-19 치료제 후보물질 발견
  - 독일, 8월부터 디지털 헬스케어 앱 처방 허용
  - 호주 MoH/ADHA, 전자처방전 시스템을 멜버른 광역 지역으로 확대
  - Accenture 설문조사, 응답자 85%는 기술이 내재된 사용자 경험을 인식
 
◈ 4대 보건산업
  - 미국 UT Dallas 등, 새로운 유형의 의수족(prosthetic limb)을 제작
  - 미국 Mammoth社, CRISPR 기술 기반 제품으로 NIH 지원 획득
  - 영국 King’s College London, 심장마비 환자의 뇌손상 예측
  - 스위스 Novartis, FDA로부터 재발형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승인 획득
  - 유럽 CARE, COVID-19 치료제 연구개발 프로젝트 지원
  - 일본 데이터헬스 개혁, 가시화되는 8가지 서비스 동향
  - 베트남 헬스케어산업, 경제 및 인구통계학적 변화로 성장 추세
  - 화장품 구매행동, 가정 내의 스파도구와 세럼 제품에 대한 수요 급증

 

 

인도, COVID-19로 원격의료에 대한 기대감 고조

 

인도 의료시장은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디지털 의료분야는연 40%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지만 의료체계는 여전히 취약하며 COVID-19 확산으로 원격의료에 대한 관심과 니즈가 커지면서 동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코로나 사태에서 현장 의료체제를 적극 지원

 

[1] 의료 및 디지털 분야의 막대한 시장성

■ 세계 빈곤층의 약 25%가 거주하고 있는 인도는 의료분야에서 여러 가지 과제가 표면화되고있는 상황

ㆍ 일단 전국민 보험제도가 없기 때문에 의료비 부담이 크고 인구 1만 명 당 의사 수가 약 8명에불과할 정도로 만성적인 의료종사자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농촌지역은 의료 접근성이 매우 낮고 국가 전체의 의료체제도 취약

ㆍ 8월 13일 기준 COVID-19 누적 감염자는 약 240만 명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고, 이로 인해 인도의 의료체제는 과거보다 심각한 상황이 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를 주목

ㆍ 시장조사기관 Informa Markets가 발표한 보고서는 ’16년∼’22년 인도 의료시장이 연 22%성장하고 ’22년에는 3,72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ㆍ 한편 의료분야의 발전을 뒷받침할 디지털시장도 연 23%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디지털헬스케어 분야는 연 40%의 성장을 지속하여 ’21년까지 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것으로 예측

ㆍ 이처럼 과거부터 잠재적으로 존재한 의료시장과 그에 부가되는 디지털 기술에서 시장성을 발견한 기업들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인도 의료시장을 획득할 방안을 고심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나서고 있으며 특히 다수의 인도 스타트업이 의료분야에 참여

ㆍ 인도 소프트웨어산업협회(NASSCOM)와 지노브(ZINNOV)컨설팅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14년∼’19년 창업한 인도 스타트업 8,900∼9,200개 가운데 14%가 헬스케어 분야로, 이는업무관련 디지털 솔루션 분야(19%)에 이어 2위 규모

 

[2] 스타트업, 의료분야에 대거 참여한 가운데 일부 기업 약진

■ 최근 인도는 많은 스타트업이 자신들의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자국의 의료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창출하는데 주력

ㆍ 지난 '14년 탄생한 Tricog는 심전도의 AI진단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헬스테크스타트업으로, 흉부에 부착한 센서를 통해 얻은 심전도 데이터와 클라우드에 저장된 과거의 심전도 데이터를 조합해 AI가 분석하고 신속하게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것이 특징

ㆍDocsApp은 온라인 수진, 처방전 발행과 수령, 약 주문까지 가능한 온라인 진료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 중으로 진료비와 약값 지불도 전자결제로 가능하며 문진정보에 AI 분석기술을 융합해 이용자의 질병을 예측하고 이를 의사에게 제시하는 기술도 도입

ㆍ일본과 인도 스타트업의 협업 사례인 DeepTek는 NTT데이터의 출자를 받아 2018년 탄생했으며 AI를 활용한 의료영상진단 지원시스템과 원격X선 진단 서비스 등을 전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