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5(2020.09.28)

  • 등록일2020-10-22
  • 조회수40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9-2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보건산업#헬스케어#의료시스템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5(2020.09.28)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
 

◈ 포커스
   - 미국 헬스케어, 의료시스템 개혁 등 6가지 주요 트렌드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디지털헬스 분야, 급속한 성장 지속에 대한 반론
   - 독일 협회연합체, 의료체계의 상호운용성을 제안
   - 일본, 포스트 COVID-19 시대의 데이터헬스 집중 개혁
   - 중국 인공지능, 8개 응용분야에 적용되어 의료산업발전을 촉진
   - 글로벌 웨어러블 의료기기, 높아지는 시장 관심과 성장잠재력 보유
   - APPA 프레임워크, 접촉추적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거버넌스
 
◈ 4대 보건산업
   - 미국 FDA, Sarepta社의 임상시험전 유전자 치료에 대한 상세데이터 요구
   - 미국 하버드대학, 외과용 소형수술로봇 제작
   - 영국 Charlotte Tilbury, 데이터분석플랫폼 Looker 배포
   - 영국 정부, 암진단 등 6개 프로젝트에 3,200만 파운드 지원
   - 인도 규제당국, 의료기기와 체외진단(IVD)의 위험분류 목록 발표
   - 일본, 수평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에 대한 논의 고조
   - 미국 ITIF, 중국 바이오산업 성장에 대한 대응방안 제시
   - 장기요양시스템, COVID-19로 인해 발생한 균열에 대한 적절한 조치 필요

 

 

 

 

미국 헬스케어, 의료시스템 개혁 등 6가지 주요 트렌드

 

글로벌 컨설팅사 매킨지(McKinsey)社는 미국 헬스케어 분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의료시스템의 개혁 △만인을 위한 보건정책 필요성 부각 △기술주도 혁신으로 기하급수적으로발전하는 시대 △긴축 압력이 가중될 전망 △세분화, 통합, 연결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차세대관리의료 가속화 등 6가지 주요 트렌드 분석

 

[1] 의료시스템의 개혁

■ 미국은 역사적으로 경기침체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헬스케어 개혁을 추진했으며,COVID-19로 인해 발생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대처하기 위하여 △보험급여 적용 등 제공된혜택들의 영구화 검토 △헬스케어 시스템을 강화하는 조치 △다양한 형태의 개혁 등을 추진

ㆍ 헬스케어 시스템이 COVID-19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서비스센터(CMS)는’20년 3월 초부터 190개 이상의 환자 의료 부담의 면제 및 수정법안을 도입

ㆍ 이러한 조치는 의약품의 임상실험(clinical practice)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자금 조달 및의료서비스의 보험급여(reimbursement)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부분 COVID-19기간동안 한시적으로 적용(예: 중환자실 사망보고 면제)

 

□ 경기침체로 인해 제정된 주요 헬스케어 개혁법안 □


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