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체코 코로나19 진단키트 시장동향
- 등록일2020-10-27
- 조회수658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0-13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체코#코로나#진단키트
체코 코로나19 진단키트 시장동향
정지연 체코 프라하무역관
- 2020년 상반기 한국산 수입 231% 증가 -
- 2차 감염 확산으로 9월부터 테스트 급증, 진단키트 수요 지속 예상 -
□ 상품명 및 HS Code
ㅇ HS Code 382200: 코로나19 진단키트 (진단용·실험실용 시약)
ㅇ 코로나19 진단키트 종류는 대표적으로 분자진단, 항원진단, 항제진단 방식으로 구분
대표적인 코로나19 진단키트 종류
종류 |
분자진단(PCR) (Molecular Diagnostics) |
항원진단 (Antigen Tests) |
항체진단 (Antibody Tests) |
용도 |
ㅇ 바이러스 존재 감지 - 코로나19 감염여부 진단에 사용 · ECDC(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 WHO 추천 코로나19 진단방식, 체코 확진여부 판단방식 |
ㅇ 바이러스 존재 감지 - 분자진단검사가 어려운 환경 또는 대규모 발생 시 사용할 수 있음. |
ㅇ 바이러스 과거 노출 여부 (바이러스 항체 반응 감지) - 대규모 항체 역학조사 또는 보조수단으로 사용 |
검사방식 |
- 콧물이나 가래 채취 - 검체의 유전자 증폭(PCR) 후 코로나19 유전자와 대조해 감염여부 진단 |
- 코나 목의 분비물 채취 - 검체 내 항원이 진단키트에 탑재된 항체와 결합해 감염여부 진단 |
- 혈액 채취 - 바이러스에 대한 체내 면역 반응으로 생기는 IgM, IgG 항체 생성 유무 검사 |
장단점 |
진단방식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나 분석을 위한 별도 실험 장비가 필요하고 결과 도출에 몇시간 이상이 소요 |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빠른 검사가 가능하나 민감도 환자 검출 어려움 (다른 진단방식보다는 개발진행단계) |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빠른 검사가 가능하나 감염 3~10일 이후 항체가 형성돼 초기단계 감염 감지 어려움. |
자료: MedTech Europe, European Commission,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자료 종합
2018 의료지출 |
2018 체외진단기기 시장 규모 |
|||
총 금액 (백만 유로) |
인구당 지출 (유로) |
시장규모 (백만 유로) |
인구당 시장규모 (유로) |
의료지출 대비 비중 (%) |
15,416 |
1,453 |
170 |
16 |
1.1% |
2020년 월별 수입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합계 |
수입액 |
203 |
497 |
456 |
1,638 |
304 |
432 |
3,351 |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 |
-48.3 |
470.6 |
303.8 |
807.6 |
27.8 |
675.2 |
230.7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