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7(2020.10.12)

  • 등록일2020-10-29
  • 조회수401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0-2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보건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67(2020.10.12)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

◈ 포커스
  - 미국의 바이오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 제안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NYP, AI기반 도구를 활용하여 의료종사자의 정신건강을 지원
   - 미국 NIH, COVID-19 관련 빅데이터 7개 프로젝트에 자금 지원할 계획
   - 인도의 의료생태계, 뉴노멀(New Normal)로 진화될 전망
   - 중국 AI 관련 의료규정, 전체수명주기 감시시스템으로 전환
   - 모바일헬스(mHealth), 과학적 효과 검증이 비즈니스의 경쟁력 제고
   - 인공지능(AI), 의학분야에서 인종편향 오류 제거 방법
 
◈ 4대 보건산업
  - 미국 J&J, COVID-19 백신 임상실험에서 강력한 면역결과 발표
   - 미국 행정부, ‘미국우선주의’ 헬스케어 플랜에 대한 행정명령 발표
   - 유럽 JRC, 호흡기질환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비동물 모델 연구
   - 독일 BMBF, 국립종양질환센터를 4개 지역으로 확대
   - 일본, COVID-19 시대를 고려한 의료제공 체제 개혁 필요
   - 글로벌 의료기기 3D 프린팅, ’27년까지 연평균 16.2% 증가할 전망
   - 바이오 제약산업, 표적 항암치료제 개발 동향
   - 화장품 소비자, 미용 컨셉 ‘내추럴(natural)’의 다양화 추구
 
 
미국의 바이오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 제안
 
미국의 싱크탱크 정보기술혁신재단(ITIF)는 ’20년 9월 15일 개최된 AURP BioHealthCaucus Conference에서 미국의 바이오제조 르네상스를 가속화하고 바이오제조의 글로벌경쟁력을 유지·개선하기 위한 정책 로드맵을 제안
 
□ 주요 국가별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신물질 수 □


1.png

 
[1] 개요
미국은 현재 바이오제약 분야에서 중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의 도전을 받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국제적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들이 강력한 부문별 경쟁력 전략을 명확히하고 수용해야 할 시기에 직면
ㆍ 미국은 생명과학 기초연구에 대한 △상당한 규모의 연방 투자 △강력한 지적재산(IP) 보호△효과적인 기술 이전정책 △투자 인센티브 △고위험 의약품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의약품가격 정책 등을 포함한 효과적인 생명과학 정책으로 인해, 현재까지 글로벌 혁신과 신약 개발을 주도
ㆍ ITIF는 △미국의 보건과 경제에 대한 미국의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글로벌맥락에서 바이오제약 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고 △미국의 리더십에 대한 도전과제를 탐구하고△미국이 세계의 생명과학 혁신 및 생산의 중심이 되도록 설계된 정책 로드맵을 제공
ㆍ ITIF의 정책 권장사항은 △미국의 강점을 유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확대 및 채택△내수 생산 증가를 촉진하는 정책 지원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해외 자국보호정책인중상주의(Mercantilism)에 철저하게 대응할 것을 제안
ㆍ 또한 첨단 바이오제조 기술은 연간 생산비용을 500억 달러 규모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바이오제조 프로세스의 현대화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