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Vol.368, 2020.10.19) '분산화된 임상시험(DCT), COVID-19 확산으로 부각' 등
- 등록일2020-11-04
- 조회수424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0-21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보건산업#임상시험#COVID#코로나
- 첨부파일
◈ 포커스
- 미국 pfizer, 실사용 증거를 사용하여 Ibrance에 대한 확대 승인 획득
- 미국 Berkeley Lab,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어 신진대사공학을 가속화
- 영국 NHS, 온라인검사기를 활용하여 제2형 당뇨병 위험 확인
- 싱가포르 Doctor Anywhere, 원격진료 사업을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확대
- 행동과학과 IT기술 발달, 건강증진·예방서비스의 확대를 촉진
- 미국 FDA, 29개 AI 기반 의료기기·알고리즘 공식 승인
- 영국 잉글랜드 웨일즈, 1차 COVID-19 확산에 따른 사망자수 과도 발생
- 독일 정부, 병원 시스템 디지털화를 위해 30억 유로 자금 지원
- 유럽 Horizon Europe, 암정복을 목표로 13가지의 권고사항 제시
- 중동 지역 화장품 진출전략, 국가별 상이한 지리적·문화적 특성 고려 필요
- COVID-19 백신, 공정 배포와 대중의 신뢰 구축이 필요
- 유전자 편집기술, 과잉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완화시킬 효과적인 수단
분산화된 임상시험(DCT), COVID-19 확산으로 부각
COVID-19 팬더믹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워지면서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안전관리가 어려워지고 시험약을 전달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당초 작성한 계획서에 따른 평가가 불가능해지는 등 임상시험 지속·평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은 그동안 전개해 온 임상시험의 과제를 부각시키는 동시에 의료기관 통원에 의존하지 않는 임상시험(DCT)을 검토하는 계기로 작용
[1] DCT의 다양한 장점과 가능성
■ CISCRP1)가 지난 2017년 미국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임상시험 참가 판단에 의료기관의 입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약 60%를 기록
ㆍ 일본의 임상치료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시간 부담’ ‘통원 부담’이 각각 전체 응답자의 23.4%, 2.3%로 참여가 부담스러운 이유 중 1,2위를 차지
ㆍ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의 거리적, 시간적 부담을 줄이고 임상시험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려면 통원을 전제로 한 ‘의료기관 중심의 임상시험’에서 환자의 니즈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실시 가능한 ‘환자 중심의 임상시험’ 구축이 필요
ㆍ 건강정보를 수집할 디지털 디바이스와 온라인 진료를 결합하면 의료기관 내원에 의존하지 않는 임상시험이나 환자중심의 임상시험도 실현 가능하지만, 관련 규제를 준수하고 참가하는 피험자의 안전성과 데이터 품질의 확보가 필요
* ‘의료기관 통원에 의존하지 않는 임상시험’은 Decentralized Clinical Trial(DCT, 분산화 임상시험), Virtual Clinical Trial(가상 임상시험), Web-based Clinical Trial(웹상의 임상시험), Location Flexible Clinical Trial(장소에 유연한 임상시험) 등 다양한 호칭으로 불리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DCT로 통일
ㆍ DCT의 경우, 의료기관 내원빈도를 줄일 수 있어 거리적, 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나는 것 외에도 자신의 질환이나 신체장애로 정기적 내원이 곤란해 임상시험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환자에게 참가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환자의 참여가 가능
ㆍ DCT가 실현되면 스폰서(제약회사 등) 입장에서는 피험자 등록기간 단축과 의료기관 당 피험자 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에 임상시험기간 단축과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
ㆍ 이처럼 DCT 실현은 환자의 임상시험 접근성 향상 외에도 ‘산업’, ‘피험자(환자), 실시 의료기관’, ‘스폰서’별로 다양한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
□ DCT 실현을 통한 이해관계자별 긍정적인 측면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