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헝가리, 유럽 메디컬 웨비나 참관기
- 등록일2020-11-23
- 조회수424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1-18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헝가리#유럽#메디컬#의료기기
헝가리, 유럽 메디컬 웨비나 참관기
김익중 (헝가리 부다페스트무역관)
- 국가 주도 의료시스템으로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 공공조달의 무차별 원칙 등 한국기업 진출 기회 보유 -
- 가격 경쟁력, 헝가리 기업 문화 적용 등도 반드시 필요 -
지난 11월 10일(화), 부다페스트 무역관에서는 헝가리 의료기기 제약 분야 시장동향과 현지 시장진출 전략을 주제로 하는 웨비나가 개최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기존 비즈니스의 형태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바뀌었으며 이 추세에 따라 세미나도 현장 발표가 아닌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과 헝가리와의 8시간 시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국기업들이 참여했으며 연사들도 헝가리에 진출하고자하는 기업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코자 열정적으로 발표와 질의응답에 임했다. 웨비나에서 전달된 주요 정보를 전달해보고자 한다.
유럽(헝가리) 의료기기 등록 제도
헝가리 국립 약학 영양 연구원 발표장면
자료: 부다페스트 무역관 자체 촬영
웨비나의 첫 세션은 헝가리 국립 약학 영양 연구원(OGYEI) 소속 세르디 코넬 박사가 진행했으며 유럽(헝가리)의 의료기기 등록제도에 대해 발표가 진행되었다. 헝가리의 의료기기 등록 관련해서는 OGYEI에서 임상 시험 및 승인을 진행하고 있으며 CE인증 준수 여부, 제품의 안전성 측면 등에 대해 감독 업무도 수행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현재 발표 시점 기준으로 헝가리에 소재한 제조업체 또는 공인 대리인은 헝가리에 1등급 또는 자가 제작한 의료기기의 유통을 희망할 경우 연락처 정보와 제품에 대한 정보를 통지해야한다. 세부적인 IVD 제품에 대해서는 헝가리 소재 제조업체 또는 공인 대리인은 성능 평가서와 제품을 통지해야 하며, 유통업자의 경우 VAT 할인을 희망할 경우 취급 제품에 대한 위임 정보를 통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2021년 5월 부 규제 개정이 예고됨에 따라 제조사 및 인증기관에 대해 자가선언 1등급 의료기기 이외의 모든 의료기기에 대해서도 엄격한 요구사항 아래 적합성 평가가 적용될 예정이다. 등록을 위해서는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서류를 제출하게 되면 등록번호를 부여받으며 관련 비용이 전부 납입된 이후 영업일 8일 이내 등록인증서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료기기 등록, 실험, 감독 업무 외에 OGYEI는 의료기기의 수출을 위한 FSC(Free Sale Certificate) 제공, 정기적인 기술 검사 수행을 위한 관련 기업/기관의 승인, 의료 지원 관리 홍보 그리고 소비자 보호 활동을 전개한다.
헝가리 의료시장 개관 및 관련 프로젝트
헝가리 국립 보건센터(NNK) 발표 자료 일부 발췌
ㅇhttp://www.aeek.hu/site/index.php?start=OK&page=en
ㅇhttp://www.kozbeszerzes.hu/nyelvi-verziok/english/
ㅇwww.ted.europa.hu
ㅇhttp://eur-lex.europa.eu/en/index.htm
|
∙ 명칭 : Healthy Budapest Program(Egeszszges Budapest Program, EBP) ∙ 예산/기간 : 180억 유로/2018~2026(코로나19로 일부 지연)
<응급센터 구축 및 병원 개선 사업 지도>
|
자료: NNK 제공 및 부다페스트 무역관 정리
한국 기업의 유럽 의약품 및 의료기기 시장 진출 전략
발표중인 HBS사의 가보르 레니 박사
헝가리는 과거 비타민C를 최초로 발견했고 노벨 의학상도 수 차례 수상한 바 있는 전통적인 기초 과학 강국이다. 현재는 우수 의과 대학을 여러 보유하고 있으며 서유럽 대비 저렴한 인건비와 임상 실험 진행 가능 그리고 지리적 우수성으로 많은 제약 분야 기업들이 진출하여 R&D, 생산, 판매 등의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비록 시장 규모는 작지만 정부에 의해 중앙 집권화된 헝가리의 의료시스템은 기업이 진출한다면 한 나라의 정부에 조달하고 있다는 이력과 검증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서유럽, 미국, 중동 등 다른 나라에 진출하기 용이한 시장 가능성을 보유하기에 상당히 매력적인 시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인해 보건 여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과 정부 주도 Healthy Budapest Program 등의 정책 공공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만큼 우수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진출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