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3D프린팅 고급인력 양성 방향
- 등록일2020-12-23
- 조회수447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20-12-11
-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3D프린팅#인력양성#고급인력#고급인재
- 첨부파일
3D프린팅 고급인력 양성 방향
Ⅰ. 추진 배경
□ 정부는 지난 6월 ‘3D프린팅 글로벌 5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천명하며 세부 전략을 담은「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2020~2022)」을 발표
ㅇ 그동안 국내에서 3D프린팅 기술활용 사례 및 시장규모는 확대되었으나,
* 시장규모(NIPA, 2017∼2019): (’17) 3,404억원 → (’19) 4,233억원 (1.24배 성장)
** 기업체수(NIPA, 2017∼2019): (’17) 302개 → (’19) 402개 (1.33배 성장)
- 산업성장을 이끌 고부가가치 수요산업 기반이 취약하고 상용화 성공사례가 부족하여 실제 산업적용·활용*은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
* 3D프린팅 기술개발·활용기업(통계청, 2017): 전체 0.95%, 제조업 1.46%
ㅇ 인력에서도 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전문기업과 기초인력은 육성되었으나, 산업혁신을 주도할 강소 기업과 고급 융합인재는 아직 부족하다고 진단
* 재직자 대상 교육(’17∼’19년): 1,436명, 3D프린팅 국가기술자격 신설(’17), 국가기술자격 검정 시행(’18)
- 초기 단계인 3D프린팅 산업의 상황을 고려한 활용・교육 중심 지원으로 기술·산업 혁신을 주도할 고급인재는 부족
□ 「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은 ‘혁신‧성장 중심 산업기반 고도화’를 3대 전략으로 설정하고, ‘산업밀착형 선도인재 육성’을 핵심과제로 선정
ㅇ 유망 산업분야에서 3D프린팅 기반의 혁신을 주도할 고급인재를 육성하고
ㅇ 3D프린팅 산업 확산을 위해 3D프린팅 활용분야의 관련 지식을 갖춘 인력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지원하겠다는 인재육성 방향을 설정
□ 본 보고서에서는 3D프린팅 산업의 발전 추세를 분석하고, 그 추세에 맞춰 「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이 목표하는 선도인재 육성 방안을 논의하고자 함
ㅇ 특히 ‘Ⅱ. 3D프린팅 산업 동향’에서 분석된 3D프린팅이 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의 선도 인재 육성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ㅇ 본 보고서는 ‘선도인재 육성 방안’ 주요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메이커 스페이스’ 등에서 진행하는 기초인력 양성은 논의 및 분석 범위에서 제외함
Ⅱ. 3D프린팅 산업 동향
□ 제품·서비스의 차별화된 가치로 경쟁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가 도래
ㅇ 소비자 맞춤 시대로의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차별화된 제조부문 가치 창출 기술로 3D프린팅이 활용 범위는 확대되고 산업은 성장할 것으로 예상
ㅇ 3D프린팅은 제조업의 유연성·민첩성을 제고하고, 혁신 비즈니스 모델 실현의 핵심기술로 활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
□ 산업 성장축이 저가 보급용에서 고가 산업용으로 이동하고 있어며 향후 고부가 가치 시장 중심의 견고한 성장세가 전망됨
ㅇ `19년 세계 시장은 전년 대비 21.2% 성장한 118.67억 달러로 `24년까지 연평균 24% 성장하며 355.7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
- 해외에서는 기계, 자동차, 항공·우주, 소비재 등 산업에서 시제품 제작, 최종재·
부품 생산 등에 주로 활용
ㅇ 국내 시장은 ‘19년 4,233억원에서 `23년까지 연평균 21.5% 성장하며 1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
- 교육, 자동차 등 분야에서 주로 시제품 제작, 연구 등에 활용되며, 의료·치과, 생활소비재 중심으로 완제품 생산 증가
- 의료·치과 분야와 함께 최근 완성차 업체들 중심으로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3D프린팅 기술의 현장 도입 증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0년 식품의약품통계연보(제22호)
-
다음글
- 스웨덴 의료기기 산업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