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현황과 과제
- 등록일2020-12-28
- 조회수665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1-03
-
출처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플라스틱#친환경#KDB미래전략연구소#플라스틱
- 첨부파일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현황과 과제
◆ 저탄소 친환경 트렌드의 대두로 석유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이 부상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주요국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
◆ 민간의 친환경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이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회이며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 기반을 구축할 필요
□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친환경 트렌드의 대두로 인해 기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적인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
석유기반 플라스틱*은 제조 과정에서의 CO2 배출과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특성 등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
- 제조 과정에서 CO2 배출이 적고** 생분해 특성 등 생태유해성이 낮은 바이오 플라스틱이 산업적 친환경적 대안으로 부상
* 석유 기반 플라스틱은 나프타를 원료로 생산된 PE, PP 등의 석유화학 플라스틱 제품을 의미하며, 비닐류 페트병류 등의 제조원료로 사용
** 석유 기반 플라스틱인 PP의 경우 1kg 생산시 2.4kg의 CO2가 배출되는 반면, 바이오플라스틱인 PLA 의 경우 1kg당 1kg CO2배출량은 1.2kg으로 PP의 50% 수준에 불과
바이오플라스틱은 식물 등 바이오 매스를 원료로 하거나 미생물 등을 활용하여 생분해 특성을 부여한 플라스틱을 의미
- 원료의 유래 또는 생분해성 등에 따라 생분해 플라스틱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으로 구분
□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주요국들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량*은 '19년 2,115천톤 규모이며, '24년까지 연평균 3.2%의 지속적인 성장세 전망
* '19년 기준 글로벌 플라스틱 생산량은 368백만톤으로, 바이오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중은 5.7%
- '19년 중 제품별 비중은 Starch Blend(21.3%), PLA(13.9%), PBAT(13.4%)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56%이며,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은 44%를 차지
- '24년에는 생산량 가운데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45%,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이 55%로 향후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 참고 > 주요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용어 정리
‧ PLA(Polylactic Acid, ) 폴리유산 : 옥수수 등에서 추출된 전분을 발효시켜 생성된 유산을 중합한 제품으로 일회용 그릇 등으로 사용
‧ PHA(Polyhydroxy Alkanoates) : 당을 먹이로한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플라스틱으로 컵, 포장재 등으로 사용
‧ Starch Blend : 옥수수 등에서 추출된 전분을 기반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 파라자일렌으로부터 생산된 DMT(Dimethyl Terephtalate) 등을 중합한 제품으로 식탁보 등의 소재로 사용
‧ PBS(Polybutylene Succinate) : 아세틸렌으로부터 생성된 부타디올을 중합한 제품으로 어망, 빨대 등의 소재로 사용
‧ Oxo Bio PE : PE(Polyethylene)에 바이오매스 및 산화생분해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비닐 등으로 사용
‧ Bio PE : PE에 바이오매스를 첨가하여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비닐로 사용
‧ Bio PET : PET(Polyethylene Terephtalate)에 바이오매스를 첨가하여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일회용 병 등으로 사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