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ICT이슈] 디지털 헬스케어의 성장과 온라인 피트니스
- 등록일2020-12-30
- 조회수730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12-14
-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피트니스#온라인 피트니스#펠로톤
- 첨부파일
디지털 헬스케어의 성장과 온라인 피트니스
□ 계속되는 팬더믹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급성장
ㅇ 팬더믹 사태의 장기화로 미국 전역에 셧다운 명령이 반복되며 비대면 또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안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급성장
ㅇ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 북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19년 기준 약 394억 달러로 전세계 시장의 약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년에서 25년까지 매년 평균 31%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 미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 개요
ㅇ 현재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 가장 큰 수익을 창출하는 부문은 온라인 피트니스로 시장규모는 20년 53.3억 달러로 추정되고 24년 56.4억 달러에 이르며 연평균 1.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 헬스케어 목적으로 스마트 기기 또는 앱을 사용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미국 헬스케어 소비자 비율은 13년 17%에서 20년 42%로 대폭 상승
ㅇ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은 크게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시장 함께 연동되어 사용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시장을 포함
ㅇ 미국 피트니스 앱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년 억달러에서 년 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 전망
- 사용자 유입률은 20년 28.8%에서 24년 35.1%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
- 20년 1인당 평균 지불 금액 약 13달러 전체 사용자 수 약 9,530만 명
ㅇ 미국 웨어러블 시장 규모는 20년 40.6억 달러에서 24년 38.4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 -1.0% 전망
- 세계 최대 스마트 웨어러블 시장은 중국으로 20년 기준 60.5억 달러로 추정되며 중국 성장세로 향후 미국의 웨어러블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 전망
- 사용자 유입률은 20년 28.8%에서 24년 35.1%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
- 20년 1인당 평균 지불 금액 약 84달러, 전체 사용자 수 약 4,830만 명
□ 미국 피트니스 시장 트렌드
ㅇ 미국 피트니스 센터 시장에서 세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던 24아워 피트니스(24Hour Fitness) 는 팬더믹이 본격화 된지 개월 만인 올 6월파산보호 신청
- 2018년 매출 규모 15억 달러, 운영 매장 개수는 올 3월 기준 445개에 이름
ㅇ 코로나를 기점으로 홈트레이닝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차별성을 가진 피트니스 서비스가 전통 피트니스 시장을 대체
- 녹화된 비디오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품질과
- 이를 뒷받침해주는 고성능 스마트 피트니스 기구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및 제공이 향후 피트니스 스타트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
ㅇ 원하는 시간에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운동 하고자 하는 피트니스 소비자들의 요구 증가
- 피트니스 업계에도 온디맨드 방식이 도입
- 피트니스 센터 이용 시 소요되는 시간과 멤버십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시간 공간적 제약을 없애주고 보다 전문적인 트레이너들이 제공하는 고품질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줌
- 물리적으로는 떨어져있지만 온라인상에서는 서로 연결된 커넥티드 짐(connected gym) 형태가 인기를 끌게 됨
-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 전문가와 공유하고 분석하며 운동 효과를 극대화
□ 주목 받는 미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 키 플레이어
ㅇ 화려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펠로톤(Peloton)
- 펠로톤은 구독형 피트니스 콘텐츠 기업으로 팬더믹 기간 중 주가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여 미국 내 대표적인 '코로나 수혜주' 로 꼽힘
- 펠로톤은 철저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스타 트레이너들이 고급 카메라 조명 음향 장비들이 갖추어진 화려한 스튜디오에서 실시간으로 수업을 진행하여 재미있고 차별성 있는 부티크 피트니스형 서비스를 제공
- 2012년 뉴욕에서 설립되어 지난 해 9월 상장된 펠로톤은 올해 주가가 4배 가량 상승하였으며 올 4~6월 매출은 약 6억 7,100만 달러로 이는 작년 동분기 대비 172% 증가한 수준
- 자체 하드웨어 제품군을 가지고 있어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통합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종자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및 GSP 사업 성과 관리체계 고도화를 위한 연구
-
다음글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76] 미국 GAO, 환자 치료 강화를 위해 활용되는 AI 분석 보고서 발간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