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78] 미국 Google,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2020년 상위 5가지 이슈

  • 등록일2021-02-04
  • 조회수472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1-21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디지털 헬스케어#헬스케어
  • 첨부파일
    • pdf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 4호_디지털 휴먼증강 미래 유망 기술 서... (다운로드 4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378(2021.1.21)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Google,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2020년 상위 5가지 이슈
  - 미국 Amazon, 헬스케어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비스 출시
  - 독일 디지털헬스케어법, 혁신가들을 위해 보험급여 패스트트랙을 제공
  - 일본, 진단·진료지원 AI시스템 시장 2020년 이후 확대 예상
  - 백신여권,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 및 사용 추진
  - UN, AI 오용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강력한 국제적 규제 필요성 강조

◈ 4대 보건산업
  - 미국 FDA, 주목받는 5개 의약품 1/4분기 인가 검토예정
  - 미국 NIST, 백신접종예측용 FITS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
  - 영국 UKRI, 세포 및 유전자 치료에 교육과 정보의 중요성 강조
  - 유럽 IMI,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보고서 발간
  - 인도 NITI Aayog, 공중보건감시에 대한 인도의 비전 2035 제시
  - 일본, 의사의 시간외 노동시간 상한규제 ’24년 4월부터 적용
  - 아시아태평양지역, ’21년 예상되는 주요 화장품 규제 이슈
  - COVID-19 통계 사이트, 백신 접종에 대한 국가별 데이터 제공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 Google,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2020년 상위 5가지 이슈

미국 구글(Google)社는 ’20년 △COVID-19 접촉 추적 API에 대해 애플(Apple)과 공동 협력 △보험시장에 신규 진출 △Google Cloud의 원격의료 업체인 암웰(Amwell)에 1억 달러 투자 △새로운 헬스케어 AI 제품군을 공개 △상호운용성 지원 프로그램 발표 등을 추진

Ÿ ’20년 4월 Google과 Apple은 iOS 및 Android 모바일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내재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COVID-19의 노출알림시스템(ENS)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API를 발표
Ÿ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 산하 생명과학 기업인 베릴리(Verily)는 스위스 보험사인 스위스리(Swiss Re)와 제휴하여 스톱로스(stop-loss) 보험상품을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코이피션트인슈어런스컴퍼니(Coefficient Insurance Company)라는 자회사를 설립
* stop-loss는 예측할 수 없는 재해와 손실로부터 기업의 부담을 낮춰주는 보호장치를 의미
Ÿ ’20년 11월에 Google Cloud는 헬스케어 데이터, 환자 기록, 비정형 텍스트 해석과 관련된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어처리(NLP)를 수행하는 AI 플랫폼을 공개

[ Business Insider, 2020.12.29.; Google Cloud, 2020.11.11.]

미국 Amazon, 헬스케어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비스 출시

’20년 12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는 △상호운용성 표준을 지원하고 △헬스케어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 사용을 촉진하고 △미국 의료정보보호법(HIPAA)의 적격 서비스이며 △페타바이트급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Amazon HealthLake를 발표

Ÿ Amazon HealthLake는 다양한 조직으로 사일로(silo)화되고 각종 형식으로 산재해 있는 조직의 전체 데이터를 중앙 집중식 데이터레이크(data lake)로 수집하여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표준화할 수 있는 서비스
Ÿ Amazon HealthLake 서비스를 통해 헬스케어 조직은 머신러닝 기술을 저장, 태그 지정, 색인화, 표준화, 쿼리 및 적용한 클라우드에서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
Ÿ Amazon HealthLake는 헬스케어 조직의 모든 데이터를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산업표준 형식으로 자동 구조화하므로 의료 시스템과 타사 애플리케이션간 상호 정보를 쉽고 안전하게 공유

[ Health IT Analytics, 2020.12.10.; MedCityNews, 2020.12.13.]


독일 디지털헬스케어법, 혁신가들을 위해 보험급여 패스트트랙을 제공
 
독일 헬스케어시스템 디지털화의 중요한 이정표인 디지털헬스케어법(Digital Healthcare Act, DVG)은 ’19년 11월 7일 연방의회(Bundestag)의 승인을 받았으며 ’19년 11월 29일 연방위원회(Bundesrat)에 의해 채택되어 혁신가들에게 보험급여 패스트트랙 기회를 제공
 
Ÿ 독일 DVG의 건강보험규정에 따라 보험에 가입한 약 7,300만 명의 사람들에게 법정 건강보험 회사가 지원하는 디지털헬스애플리케이션(DiGA)의 처방을 받을 자격을 부여
Ÿ ’20년 6월부터 전 세계 메드테크(Medtech) 회사들은 독일연방의약품의료기기연구소(BfArM)에서 규정한 DiGA의 패스트트랙목록에 등재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BfArM은 모든 신청서류를 접수한 후 3개월동안 DiGA를 평가
Ÿ DiGA 등록부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가 등급I 또는 등급IIa 의료기기로 분류되고 △ 디지털 기술이 주요 기능이어야 하며 △유럽의료기기규정(MDR)을 준수하고 △BfArM의 모든 평가기준(품질, 기능, 효과, 데이터보안 및 데이터보호평가 등)을 충족
 
[ Open Access Government, 2021.01.10.; Harvard Business Review, 2020.12.02.]
 
일본, 진단·진료지원 AI시스템 시장 2020년 이후 확대 예상
 
의료분야의 진료, 진단, 치료지원 영역에서는 최신 ICT기술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를 탑재한 진단지원시스템, 8K 내시경수술시스템, 확장현실(XR)을 활용한 수술지원서비스 등의 기술을 활용한 제품이 출시
 
Ÿ 일본에서는 ’18년 12월 AI를 탑재한 의료기기로는 최초로 내시경 화상진단지원 AI시스템이 규제당국으로부터 승인을 취득했으며 ’19년 뇌동맥류 진단지원 AI시스템, ’20년에는 COVID-19 폐렴과 관련한 2가지 진단지원 AI시스템이 출시
Ÿ 일본의 진단지원 AI시스템 시장은 여명기에 있고 AI기술은 정부가 미래투자전략, 인공지능기술전략회의를 통해 의료분야의 AI개발 및 활용을 추진중으로 후생노동성은, 보건의료분야의 AI활용과 관련해 화상진단, 진료지원 등 6개 중점 영역을 선정
Ÿ 일본 정부는 AI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의료 DB구축, 진료데이터 활용을 위해 노력 중이며 동 분야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22∼’24년 출시를 목표로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어 장래 AI탑재형 의료기기 제품 수 증가와 함께 AI앱도 다양해질 전망
Ÿ 일본 야노경제연구소는 AI등을 탑재한 진단지원·진료지원 시스템은 의료기관 이용이 계속 확대되고 있어 ’25년 진단·진료지원 AI시스템 시장규모는 사업자 매출액을 기준으로 100억 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
 
[矢野経済研究所, 2020.12.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