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기술사업화 동향조사 및 이슈페이퍼 Vol.1
- 등록일2021-02-09
- 조회수476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0-12-24
-
출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사업화#기술중개#연구성과 활용확산#기술중개 활성화
- 첨부파일
기술사업화 동향조사 및 이슈페이퍼
목차
PartⅠ. 동향조사
기술사업화 국내외 동향
Ⅰ. 기술사업화 및 정의 프로세스
Ⅱ. 국내외 동향분석
Ⅲ. 시사점
참고문헌
PartⅡ. 이슈페이퍼
1. 기술중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방안
- 대전대학교 김철한 교수
Ⅰ. 작성배경 및 문제진단
Ⅱ. 국내외 기술중개 현황
Ⅲ. 기술중개 활성화를 위한 전문기관 역할 강화
참고문헌
2. 연구성과 활용확산을 위한 전략분야도출
- 한림대학교 서규원 교수
Ⅰ. 추진배경 및 목적
Ⅱ. 국내 현안, 이슈 대응 과학기술정책 분석
Ⅲ.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 사업 대상 전략분야 도출
Ⅳ. 결론
참고문헌
기술사업화 정의 및 프로세스
기술이전·사업화 관련 중장기 계획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계획」,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 「국가지식재산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음
- 기술이전·사업화란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시장지향형 기술기획에서 신사업/신제품 개발 및 상용화까지 광범위한 범위를 포괄함
-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기술이전이란 기술의 양도, 실시권 허락, 기술지도, 공동연구, 합작투자 또는 인수·합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기술보유자(당해 기술을 처분할 권한이 있는 자를 포함한다)로부터 그 외의 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말한다.” 라고 정의되어 있음
-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사업화의 개념을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의 개발·생산 및 판매를 하거나 그 과정의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규정함
- 신제품 개발은 △상용화기술개발 △시장검증·품질검증 △시제품 시장검증 등과 같이 구별
- 기술창업은 △엑셀러레이터 △기술금융과 같이 세분화
- 사업개발은 △신제품 마케팅 △기술제휴로 구별
※ 한·중 기술사업화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stepi, 2018년 발췌
정책방향, 사업화 목적, 기술이전 가능성 및 금액, 연구자 창업 의지, 수익창출 기대효과 등에 따라 기술이전과 창업으로 기술사업화가 추진됨
- (기술이전 프로세스) 거래방식*(Tech-Push, Market-Pull), 사업화 주체 (연구자, 공공/민간TLO) 등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전 형태로 추진됨
* 공공연구성과 기술이전은 Tech-Push 방식이 약 90%이며, 이 중 연구자 주도 방식이 약 90%로 Market-Pull 형 거래는 극히 일부분
- (기술창업 프로세스) 창업기업의 지분참여 주체가 단독 또는 공동, 설립요건(특구법, 벤특법, 산촉법, 기촉법 등) 등에 따라 기업의 설립형태가 결정됨
(미래부)연구개발특구육성법-연구소기업
(산업부)기술이전및사업화촉진법-기술지주회사
(교육부)산학연협력촉진법-산학연협력기술지주
(중기부)벤처기업육성특별법-신기술창업전문회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