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킨케어제품(유망품목 AI 리포트)
- 등록일2021-02-24
- 조회수435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1-26
-
출처
한국무역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AI리포트#스킨케어#유망품목
- 첨부파일
[유망품목 AI 리포트] 스킨케어제품
◈목차
1. 최근 수출동향
2. 국가별 수출동향
3. 수입시장 점유율로 본 경쟁력
4. 유망시장 잠재력 평가
◈요약
코로나19 영향으로 피부 트러블 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킨케어 제품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0년 우리나라의 스킨케어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15.9% 증가한 57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고 외출이 어려워지면서 피부 트러블 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졌고, 동시에 집에서 셀프케어 하는 트렌드가 확산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문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고 외출이 어려워지면서 피부 트러블 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졌고, 동시에 집에서 셀프케어를 하는 트렌드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우리나라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2020년 수출액은 57.0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15.9%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중국(24.4%), 일본(78.5%), 미국(14.7%)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세를 나타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스킨케어제품 시장으로 향후 매년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국 제품 소비 확대 및 주요 경쟁국과의 경합 등으로 한국의 점유율은 다소 낮아져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우리 기업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반면, 일본과 미국 시장의 경우 한국드라마 흥행 및 셀프케어 트렌드 확산 등으로 주요 경쟁국인 프랑스의 점유율을 따라잡는 모습이다. 최근 스킨케어제품은 온라인 중심으로 판매가 전환되면서 이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환경 친화적 포장재 및 천연 성분 등을 활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크게 높아져 ‘클린뷰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 확대가 필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