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코로나19 1년, 소비재 중소기업의 수출전략 변화 조사

  • 등록일2021-03-30
  • 조회수440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3-29
  • 출처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필터사업
  • 첨부파일

 

코로나19 1년, 소비재 중소기업의 수출전략 변화 조사


◈ 목차

1. 코로나 이후 중소기업 수출 동향

2.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의 코로나19 대응전략 설문조사

3. 시사점

◈ 요약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총 수출이 5.5% 감소하며 부진한 반면 중소기업 수출은 0.2% 감소에 그치며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신제품 출시, 판매채널 온라인화, 비대면 마케팅 활용 등 재빠른 수출전략 변화를 통해 코로나 위기를 수출 확대의 기회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본문

▣ 코로나 1년, 소비재 중소기업의 수출전략 변화 조사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총 수출이 5.5% 감소하며 부진한 반면 중소기업 수출은 0.2% 감소에 그치며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신제품 출시, 판매채널 온라인화, 비대면 마케팅 활용 등 재빠른 수출전략 변화를 통해 코로나 위기를 수출 확대의 기회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 255개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46%는 코로나19 이후 기존 수출방식에 변화를 추진했으며, 36%도 1~2년 내 대응을 준비 중인 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 중소기업들이 추진했거나 추진 고려 중인 수출전략으로 비대면 마케팅 활용(47%)이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였으며, 온라인사업 인력 확대(20%), 제품 경쟁력 개선(16%) 순이었다.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입점 지원(37%)이 가장 많았으며, 디지털 설비비용 지원(28%)이 뒤를 이었다. 향후 우리 중소 수출기업은 위드(With) 코로나 시대의 변화된 소비 트렌드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고, 다방면으로 온·오프라인 마케팅 방식을 활용하는 등 디지털 혁신에 능동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1. 코로나 이후 중소기업 수출 동향

○ 2020년 코로나 19 이기에도 불구하고, 우리 중소기업 수출은 비교적 선전

-총 수출이 전년대비 5.5% 감소한데 비해 중소기 업 수출은 0.2% 감소하며 지난해 수출규모를 유지,총 수출 내 비중도 20% 
   수준까지 상승 
      * 중소기 업 수출비중(%) : (’18년) 17.4 - (’19년) 18.6 - (’20년) 19.7
- 중소기 업의 온라인 수출은 전년 대비 규모가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호조세  
     * 중소기 업 온라인 수출 기 업 수(개사) : (’19년) 4,303 - (’20년) 7,364

 

1.png

 

- 중저가 소비재 위주의 B2C(Buyer to Customer) 거래가 많은 온라인 수출 특성상,중소  소비재 기업이 전체 온라인 수출 

   증가를 견인
○ 기타정밀화학제품(진단키트),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우리나라 전체 수출증가율을 상회
- 중소기업 수출이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화장품은 역대 최고치 실적을 기록 
 

3.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