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

  • 등록일2021-04-09
  • 조회수5166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4-07
  • 출처
    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헬스산업#산업분석
  • 첨부파일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디지털 헬스 개요
 1. 디지털 헬스 정의 
 2. 디지털 헬스 범주
 3. 디지털 헬스 산업 분류
 제3장.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1. 디지털 헬스 산업 현황
 2. 디지털 헬스 산업 동향 
 3. 디지털 헬스 R&D 분석
 제4장. 디지털 헬스 산업 전망
 1. 디지털 헬스 산업 전망 현황
 2. 디지털 헬스 산업 전망 조사
 제5장. 결 론 
 1. 연구 결과 
 2. 정책 제언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1】 디지털 헬스 정의(원문)
 【부록 2】 분야별・지역별 디지털 헬스 산업 전망 현황 
 【부록 3】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표(델파이) 
 
◈요약문

1. 디지털 헬스 개요
□ 국내・외 사례를 통해 디지털 헬스란 정보통신기술(ICT)이 건강과 의료분야에 접목되어 활용되는 형태로 정의되며 의료서비스(care)의 영역을 포함하여디지털 헬스케어와 혼용됨
※ 디지털 헬스는 기술의 진화와 함께 시기별로 Health IT, e-Health 등의 용어로 다르게 사용됨
※ 디지털 헬스의 정의는 폭넓게 논의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 합의된 형태는 제시되지 않음

구분

출처

정의

2)

국외

WHO

(2020)

디지털 헬스는 건강분야에 ICT를 사용하는 eHealth 용어에

그 기원을 두고, eHealth(mHealth 포함)분야를 비롯한 빅

데이터, 유전체학,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컴퓨터과학 분야를

포함함

mHealtheHealth의 일부이며, 건강을 위해 무선 모바일

기술을 사용하는 것임

Canada Health

Infoway(2020)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건강 증진을 위해 활용하는 정보기술/

전자통신도구, 서비스 및 과정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2019)

환자 치료, 연구 수행, 의료진 교육, 질병 관리, 공중보건

모니터링을 위해 ICT를 사용하는 것임

Sociology compass

(Lupton D, 2014)

건강과 의료에 관련된 광범위한 기술들을 포괄하여 자주 활용

되는 용어임

국내

김석화

(2015)

[디지털 헬스]

ICT기술과 헬스케어의 융합으로 유헬스에 이어 디지털 헬스가

새롭게 부상한 것으로, 스마트 헬스와 모바일 헬스를 포괄

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 여기에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함

구분

출처

정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

[디지털 헬스케어]

광의의 개념 : ICT기술이 적용된 모든 헬스케어 분야

협의의 개념 : 모바일 헬스케어, 원격의료, 인공지능 등이

포함되는 헬스케어 분야

신수용

(2019)

[디지털 헬스케어]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

평가원(2020)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와 ICT융합을 디지털 헬스케어로 부르고, 의료 질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와 ICT가 융합해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산업기술로 정의함. 디지털 헬스는 e헬스,

u헬스,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 국외 디지털 헬스 범주는 출처별 기관의 성격과 국가별 제도화 등의 차이로 공통된 범주를 제시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디지털 헬스와 관련된 주요 상품 및 서비스분야를 중심으로 제시됨
※ 국내는 디지털 헬스의 정의 및 관련 분야에 관한 내으로, 합의된 형태의 범주는 정립이 필요함
 

구분

출처

범주(영역)

국외

미국

FDA

(2020)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mHealth), 건강정보기술(health

information technology(HIT)),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s),

원격의료(telehealth), 원격진료(telemedicine), 개인맞춤형 의료

(personalized medicine)를 포함하는 영역

WHO

(2020)

이헬스(eHealth), 의료정보(medical informatics), 건강정보(health

informatics), 원격의료(telehealth), 원격진료(telemedicine),

모바일 헬스(mhealth),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의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역

국내

한국보건산업

진흥원(2018)

모바일 헬스케어, 원격의료, 인공지능 등

(협의의 개념에 언급된 내용)

최윤섭(2020),

신수용(2019)

모바일 헬스, 원격의료, 정밀의료, 의료 인공지능, 유전체분석 등

(디지털 헬스 관련 분야로 언급된 내용)


□ 디지털 헬스 산업 분류는 기술별, 구성요소별로 구분가능하며, 국내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을 구성요소별로 분류한 사례3)가 있음
※ 기술별 분류는 의료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기, 유전자검사, 모바일 헬스 등 주요 시장 및 산업군으로 제시됨. 구성요소별 분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구분됨
※ 딜로이트(Deloitte)는 디지털 헬스 산업을 텔레헬스케어, 모바일 헬스, 헬스분석, 디지털 헬스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있어, 해당 틀을 본 연구에 참고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