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포스트 코로나 언택트 시대, 화학.바이오산업의 산업환경 변화와 인력수요
- 등록일2021-04-13
- 조회수500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4-07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포스트코로나#화학바이오산업
- 첨부파일
포스트 코로나 언택트 시대, 화학.바이오산업의 산업환경 변화와 인력수요
-코로나가 발생한지 1년이 지났고 글로벌 차원에서 백신접종이 확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를 비롯해 글로벌 차원에서도 언제 팬데믹 현상에서 벗어날지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 - 우리나라는 G20 주요 국가들과 비교할 때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업생산이나 고용수준의 감소가 적었음
- 포스트 코로나 언택트 시대에 화학산업은 전방산업의 수요 감소 등으로 어느 정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나, 바이오산업은 체외진단키트에 대한 국내외 수요의 급증과 함께 자본시장과 노동시장 그리고 정부로부터 관심이 높아져 긍정적인 산업환경이 조성되는 측면도 있음
- 코로나19가 화학산업의 고용수준에 미친 영향을 보면, 석유화학업종과 정밀화학업종은 장치산업의 특성상 그 영향이 크지 않지만, 고무 및 플라스틱업종은 고용이 다소 감소하였 으며, 소득수준에 미친 영향을 보면, 화학산업 전체가 대체로 2〜3분기까지 감소하다가 3분기 이후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플라스틱산업의 경우 포스트 코로나19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인력은 고용감소에 대응하여 자동화 및 스마트 공장의 운영에 적합한 직무능력을 보유한 인력 등임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바이오산업에 요구되는 인력들은, 체외진단키트의 개발 및 생산 인력, 국산 코로나 백신개발을 위한 기반기술인 유전체 정보 분석 인력, 기술혁신이 빠른 유전자치료 및 세포제 개발을 위한 인력 등임
|
I. 코로나19 팬데믹이 산업생산 및 고용수준에 미치는 국가별 영향 비교
I.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이 미치는 영향은 한 국가나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차원의 현상이며 거의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G20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산업생산과 고용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각국 정부들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동원하고 있음
O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G20 국가들의 산업생산의 변화를 <그림1>에서 보면, 코로나19의 영향이 가장 컸던 2020년 2월〜4월 동안 유럽 주요국들의 산업생산은 최고 30% 내외까지 감소하였으며 그 후 다소 진정되어 2월〜6월 동안의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10 - 20% 정도 감소하였음
- 미국의 경우, 유럽보다는 그 정도가 심하지 않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거의 - 20% 가까이 떨어졌다가 그 후 다소 진정되어 - 10%를 다소 상회하는 수준으로 산업생산이 감소하였음
- 일본은 주요국 중 다른 나라들과는 반대로 2020년 초에는 산업생산이 10%를 다소 넘는 수준의 감소를 보였으나 방역정책의 실패로 초기 이후에는 거의 20% 정도의 감소를 겪었음
- 중국의 경우는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거의 30% 가까이 산업생산의 감소를 겪었으나 이후 방역에 성공하여 산업생산의 감소는 없었음
- 우리나라의 경우는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다소 혼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역이 성공하여 1% 내외의 산업생산 감소에 그쳤음
◦ 노동시장은 상품시장의 파생시장으로서 산업생산의 감소는 바로 고용수준의 감소로 이어지게 됨에 따라 <그림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국들의 고용수준은 충격적인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이는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의 충격보다 더 심함
- 국가별로 고용수준의 하락을살펴보면 이탈리아와 멕시코의 고용수준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비해 무려 35%포인트 떨어졌으며 이후 이탈리아는 어느 정도 고용수준을 회복하였으나, 멕시코의 경우는 2020년 7월까지 여전히 20% 포인트 하락한상태를 유지하였음
- 미국의 경우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에 약 5%의 고용수준의 하락을 겪었으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는 -10 ~ -20% 포인트의 충격적인 고용감소를 경험하였음
- 우리나라의 경우는 팬데믹초기에 고용수준이 5% 이상의 감소를 겪었으나 이후에는 5% 이내의 수준에 머물게 되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