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6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등록일2021-04-14
  • 조회수386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4-09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기술동향#기술트랜드
  • 첨부파일

 

[2021년 6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목차


이슈포커스
중국 14·5 규획 및 ’35년 장기비전목표 개요 (中 신화망, 3.13)
산업⋅기술동향
’21년 로봇 업계 5대 동향 (日 일본로봇공업회, 3.11)
’21년 10대 혁신기술 (MIT Technology Review, 2.24)
기업의 비즈니스 전환(BX)과 경영관리 (EY Japan, 3月)
미·중 기술 경쟁에 대한 글로벌 기술 기업 경영진의 시각 (美 Brookings, 2.25)
’50년 기후중립 목표에 따른 독일 산업의 중대 변혁 과제
’21년 일본 산업 10대 키워드 (日 도레이경영연구소, 2.19)
’21년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 동향 (中 CCID, 3.1)
정책동향
미국 국가안보 및 기술 경쟁 관련 AI 정책 제언 (美 NSCAI, 3月)
미국 제조업 리쇼어링을 위한 한시적 세제 혜택 제도 필요성 (美 ITIF, 3.7)
산업부문 탈탄소화 실증사업 투자 제언 (美 ITIF, 3.8)
미·중 무역전쟁과 유럽 반도체 산업의 복원력 제고 (獨 MERICS, 2.23)
유럽의 리쇼어링 이슈와 정책 방향 (歐 EP, 3月)
EU 에너지 라벨 및 친환경 설계 규정 개편 시행 (歐 EC, 3.1)
영국 ‘더 나은 재건’을 위한 경제성장계획 (英 HM Treasury, 3.3)
영국 10대 디지털 기술 우선 과제 및 AI 전략 방향 (英 DCMS, 3.12)
일본 녹색혁신기금사업 기본방침 수립 (日 경제산업성, 3.12)
탈탄소화를 위한 일본의 성장전략 과제 (日 다이와총연, 2.24)
중국 탄소피크 및 탄소중립 과학기술 혁신행동방안 논의 (中 과기부, 3.10)
 

◈본문

이슈포커스
■ 중국 14·5 규획 및 ’35년 장기비전목표 개요 (中 신화망, 3.13)
○ 중국 제13차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을 위한 14차 5개년 규획과 ’35년 장기비전목표개요(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四个五年规划和2035年远 景目标纲要)를 심의·승인(3.5~3.11)
- 총 19편 65장으로 구성된 14·5 규획 및 장기비전목표는 국가 경제와 사회발전을 위한 전략적 의도 및 정부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시장 주체의 행동을 표준화하는 데 초점
※ ▲(’35년 장기비전목표) 신산업화, 정보화, 도시화, 농업 현대화를 구축하여 국가 전반적인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에 초점 ▲(14·5 규획) 경제환경에 따른 경제성장목표를 제시하되 노동생산성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상회하도록 조정해 내실화를 도모하고 도시조사실업률을 5.5% 이내로 통제할 방침 한편, 리커창 국무총리는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14·5 규획의 주요 목표와 과제 및 ’21년 주요과제를 제시

1.png

2.png

- 중국은 ’21년 ▲거시경제정책의 연속성·안정성·지속가능성 유지 ▲개혁 추진 ▲혁신기반 실물경제의 고품질 발전촉진 ▲내수시장 활용 ▲농가소득 증진 ▲대외개방과 대외 무역 개선 ▲고품질 환경·생태계 조성 강화 ▲국민 생계와 복지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할 방침
※ 이 외에도 ’20년 성과보고, ’13·5 규획 기간의 개발 성과 등을 정리

 

3.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