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美제조산업의 COVID-19 위기 극복 전략

  • 등록일2021-04-16
  • 조회수388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21-04-16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제조산업 #코로나#코로나 대응
  • 첨부파일
    • pdf (GT주간브리프-워싱턴) 美제조산업의 COVID-19 위기 극복 전략_0... (다운로드 3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美제조산업의 COVID-19 위기 극복 전략


Ⅰ. COVID-19로 인한 美 제조산업의 위기
 
□ 美 산업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 회복 보이는 것 같았으나, COVID-19 팬데믹 발생과 셧다운으로 인해 각 부문의 성장이 하락세로 들어섬
□ 옥스퍼드 경제 모델(OEM)에 기반한 딜로이트 예측 통계에 따르면, 2020-2021년 GDP 연평균 성장 수준 감소함

1.png

□ 美 산업생산(전년 대비 16.5%) 및 총 제조업수주(전년 대비 22.7%) 역시 2020년 4월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음
ㅇ 산업생산 지수는 2020년 12월 105.7로 팬데믹 이전 수준인 110에서 크게 하락함
ㅇ 현재(4월 기준) 여전히 2019년 수준보다 낮지만 점차 감소 추세는 둔화되고 있음

2.png

□ 총 산업 설비 가동률은 4월 64.1%에서 12월 74.5%, 2021년 2월 73.7%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인 77%보다 낮음

3.png


□ 제조업 고용 수준이 역시 크게 하락함
ㅇ 2020년 4월은 2010년 이후 최저 고용 수준을 기록
ㅇ 국가의 제조업 기반이 다시 가동됨에 따라 최근의 증가 불구하고 2021년 3월 고용 수준은 여전히 2020년 초보다 약 500,000명 낮음

4.png


□ 딜로이트의 선거 후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3%가 향후 산업전망에 대하여 다소 또는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지만, 위의 모든 지표는 현재 상황의 불확실성을 나타내고 있음
* Deloitte에서 실시한 선거 후 설문 조사: 산업 전반에 걸친 조직의 전망과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2020년 11월 화학 및 특수 재료, 엔지니어링 및 건설, 산업 제품, 석유 및 가스, 전력 및 유틸리티 등 5개 특정 산업 임원 및 기타 고위 지도자를 350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Ⅱ. 가시성(Visibility) 확보를 통한 위기 극복

 

 
□ COVID-19은 제조 분야의 여러 부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침
ㅇ 일부 산업은 셧다운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가치 사슬로 연결된 모든 제조업체에 파급 효과가 발생
- 항공 산업과 중장비산업 모두 수요가 크게 둔화
ㅇ 수요가 급증하는 제조 부문
- 주택 개조, 야외전동장비, 화장지, 소독제, 운동장비 산업 등 팬더믹으로 인한 특정 제조업의 수요가 급증 하고 있음
- 공기청정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하는 수요 증가로 HVAC(냉난방) 및 빌딩 자동화 제조업 역시 긍정적 영향을 받음
- COVID-19 백신이 출시됨에 백신 수송을 위한 냉동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와 같은 저온 유통체계 공급 네트워크 역시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
 
□ 모든 산업에 발생한 변화의 주 원인은 환경 예측의 어려움
ㅇ 지난 몇 분기 동안 기업 가이던스 발행을 중단 한 기업의 수를 보면 팬데믹으로 인한 혼란은 전례가 없었으며, 과거의 다른 혼란과는 다름을 알 수 있음
 
□ 가시성(Visibility)은 제조업체에게 가장 중요한 기능이 될 것임 
ㅇ 비록 팬데믹과 같은 특정 사건을 예측할 수 없지만, 지금 겪고 있는 상황이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의 "예측 가능한" 부분이 될 수 있음
ㅇ 즉, 2020년의 팬데믹에 의한 모든 이벤트들은 앞으로의 또 다른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의 발판이 될 수 있음
 
□ 가시성을 높이는 방식은 현제 기업이 팬데믹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디지털 기술이 중요한 원동력이 될 수 있음
ㅇ 수요가 급증하는 제조업체는 생산량을 늘릴 때 공급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가시성 을 확보해야함
- 한 부품이라도 부족하면 조립라인 생산 흐름이 망가질 수 있으므로 제조업체는 부품을 멀티소싱하는 것을 고려해야
ㅇ 수요가 둔화되는 제조업체는 운영에 대한 가시성을 높여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음
- 획득한 가시성을 활용하여, 생산 환경 전반에 걸쳐 유연성을 높임으로써 줄어든 수요를 극복하기 위해 비용을 신속하게 낮추거나 앞으로의 수요 증가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
ㅇ 두 상황 사이에 있는 기업의 경우 생산 환경에서 디지털 유창성을 높이면서 시스템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하여 다음에 있을 불가피한 위기에 대비할 수 있음
* 스트레스테스트 [Stress Test] : ‘금융시스템 스트레스 테스트’의 준말로 예외적이긴 하지만 실현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하여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성을 측정함으로써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
 
□ Deloitte의 선거 후 여론 조사에 참여한 제조업체 경영진의 76%는 디지털 이니셔티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더 많은 인더스트리 4.0 기술의 파일럿 및 실현 계획을 갖고 있다고 답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