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IT & Future Strategy 2021-4] 코로나19 1년, 우리나라의 변화
- 등록일2021-04-28
- 조회수450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4-27
-
출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코로나 대응#변화#디지털전환
- 첨부파일
NIA, 「IT & Future Strategy 보고서」 : 코로나 19 1년, 우리나라의 변화
◈ 목차
1. 주요 분야별 변화 현황
2. 디지털 적응력 및 주요요인
◈ 본문
주요 분야별 변화 현황
공공 부분 - 의료
▣ 내과 비대면 진료•상담 높은 비중 차지, 방역지침 준수로 호흡기•소화기 감염병은 감소
• ‘전화상담또는 처방 및 대리처방 한시적 허용방안(보건복지부,2020.02.24〜)’에 도입에 따라 고혈압,당뇨병,고지질혈증 등 코로나 감염에 취약한 만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비대면 내과 진료 확산
• 외과,비뇨의학과,산부인과 신경외과 등 외과로 분류되는 진료과목의 경우 총 비중이 약 10%로 상대적으로 낮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실내 활동이 증가하면서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손상 환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
• 마스크 쓰기 및 올바른 손씻기 홍보 실천을 강화하면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가 대폭 감소하였으며, 실내생활시간증가에 따라 손상으로 진료한환자수도 크게 감소
공공 부분 - 고용노동
▣ 노동시장에서의 연령벌•성벌•직종벌 실입•최업 등 차이 발생
• 20대의 경우’19년 대비 실업자수가유일하게 감소하였으며,연령대가높아질 수록실업자수가증가하는추세
• 경기악화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취업자수가 감소한 반면,공공 일자리 등 정부 정책 효과로 60세 이상의 취업자수 증가
• 취업에 대한 성별 차이 는 적었던 반면,실업자의 경우 여성에서 대폭 증가하여 고용 충격 흡수 정도 높음
• 직종별로는 도소매,숙박음식,부동산,금용,교육 등서비스업에서의 취업자 감소율이 가장높게 나타남
공공 부분-환경
▣ 환경 . 미세면지 헌격 저감, 쓰레기 증가 등 환경 변화
• 코로나,기상여건 개선,계절관리제 등 국내 정책적요인 등 다각적 요인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미세먼지 감소 목표 초과달성 19년23ug/㎥ ‘20년19一11 ug/㎥ )
• 코로나 이후 환경분야 신문기사 네트워크 분석결과 폐기물이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으며,코로나 이후 2019년 대비 폐기물은 약 80% 이상 증가
공공부분-안전•재난
▣ 안전 재난 재난의 개념 및 범위 변화
•재난의 개념 및 재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변화하는 중
• 바이러스,통신 등재난의 피해 범위가 크고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상황
•X- 과거 재난은특정 피해자중심이었지만점차 피해 대상을 특정하기 어렵고 광범위함에 따라심리적 대응에도 관심 증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