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325] 화장품 · 뷰티서비스산업 육성 및 동반성장 방안을 위한 기초조사
- 등록일2021-05-12
- 조회수440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5-11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 뷰티#뷰티서비스산업#산업현황#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첨부파일
화장품·뷰티서비스산업 육성 및 동반성장 방안을 위한 기초조사
◈ 목차
I . 서론
Ⅱ. 산업 현황분석
Ⅲ. 뷰티서비스산업 실태조사
Ⅳ. 시사점
• 참고문헌
◈ 본문
Ⅰ 서론
■ 뷰티산업을 이루고 있는 화장품·뷰티서비스산업은 가치사슬 내 전후방관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산업 간 융복합화를 통해 높은 시너지가 기대되는 산업이나, 실질적인 동반성장 체계나 정책 지원
등은 미흡한 상황임
⊙ 두 산업은 대표적인 문화산업으로 타 산업과 연계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와 결합하여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동반성장 체계나 지원 방안 등은 부족함
⊙ 발전가능성이 높은 두 산업의 고도화 및 규모화를 유도할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동반성장을 통해 산업적 한계를 극복하고 발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 이에, 본 브리프에서는 화장품·뷰티서비스산업 실태조사를 통해 두 산업이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Ⅱ 산업 현황분석
1. 화장품 산업 현황
■ (정의)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
⊙ (시장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9년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는 123억 달러로 추정되며, 세계 화장품시장의 약 3%를 차지하여 전체 8위를 기록함
⊙ (생산실적)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 16%를 기록하며 고성장 추세를 보였으나,‘19년 16조 2,633억 원(전년대비 4.9%)으로 주춤함
⊙ (수출입 현황) 2019년 화장품 수출액은 65.2억 달러로 전년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수입액은 15.8억 달러로 전년대비 2.1% 감소세를 보임. 특히, 화장품 수출은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 22.2%로 고속 증가함
- 코로나19에 따른 대외적 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20년 수출액은 75.7억 달러로 전년대비 15.7% 증가함
* 중국, 일본, 미국 등 선진국을 대상으로 기초 화장용 제품류의 수출증가와 손세정제 등 방역물품 수요 증가로 추정
2. 뷰티서비스산업 현황
■ (정의) 명확한 법적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스파 등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일련의 서비스와 관련된 산업으로 보고 있음
⊙ (매출액) 국내 뷰티서비스산업 매출액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에 있으며, 2018년 뷰티서비스산업 매출액은 6.74조원 수준임
⊙ (종사자 수) 뷰티서비스 산업의 종사자 수 역시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2018년 뷰티서비스업의 종사자 수는 약 22.9만명으로 나타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