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동남아시아 헬스케어 시장 및 의료기기 시장 규모
- 등록일2021-05-31
- 조회수421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5-27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동남아시아 #의료기기 시장 규모#헬스케어 시장
- 첨부파일
동남아시아 헬스케어 시장 및의료기기 시장 규모
◈목차
○ 동남아시아 시장
○ 동남아시아 헬스케어 시장 규모
○ 동남아시아 의료기기 시장 규모 및 동향
◈본문
○ 동남아시아 시장
동남아시아1)는 한국과의 경제 및 인적교류에서 전통적인 파트너국들에 필적하는 실질적 협력이 이뤄지는 경제권이며, 중국을 넘어선 시장 다변화 전략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2) 2019년 기준 한국과의 무역액은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이 1,534억 달러 (전체의 15.6%)로 중국 (2,437억 달러, 24.8%) 다음으로 큰 규모를 차지했으며, 미국 (1,346억 달러, 13.7%)과
유럽 (988억 달러, 10.1%), 일본 (762억 달러, 7.8%)을 앞선다.3)
동남아시아는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이다. 2019년 기준 아세안의 GDP는 3조 2,348억 달러로 4.8%의 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6억 6,062만 명에 이르는 인구의 중위연령이 31.2세로 중국 (38.4세)과 한국 (43.7세), 일본 (48.4세)과 비교해 젊은 노동력과 소비자를 보유하고 있다.4) 경기회복력도 이런 성장잠재력을 잘 보여준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아세안 국가의 경제성장률은 2020년 –3.4 ~ -3.8%대로 하락할 것이 예상되나 2021년에 는 수출과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증가를 바탕으로 5.5 ~ 6.1%대로의 회복이 전망되고 있다.5)
동남아시아는 국가 간 경제 규모나 상황이 각기 다르고 코로나19에 따른 대규모 재정 투입 등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나, 2015년 출범 후 동남아 시장 통합을 추진 중인 아세안경제공동체(AEC, ASEAN Economic Community)6) 와 2020년 타결된 세계 최대 규모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7)을 바탕
으로 향후 시장의 확대와 접근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 동남아시아 헬스케어 시장 규모
동남아시아 헬스케어 시장 또한 경제성장과 인구증가에 따른 보건·의료지출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헬스케어 시장은 전년 대비 약 7.2% 성장해 4,867억 달러에 이르는 가운데 동남아시아 4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싱가포르, 태국) 시장이 693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14.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8)
또한 아세안 시장의 성장률은 9.3%로 인도 (13.9%)의 뒤를 이어 중국 (7%), 호주 및 뉴질랜드 (5.7%), 일본 (5.8%), 한국 (4.6%) 시장을 앞서는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동남아시아 주요 6개국의 경상의료비(Current HealthExpenditure)9)는 연평균 9%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이 연평균 13.4%로 가장 빠르게 증가했으며, 인도네시아가 12.8%, 필리핀이 10.1%로 뒤를 이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