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1년 10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미친 영향 등 ~
- 등록일2021-06-07
- 조회수417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6-07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동향워치#코로나팬데믹#글로벌기업가정신
- 첨부파일
[2021년 10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목차
이슈포커스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확보를 둘러싼 패권 경쟁 (日 NEDO, 4.30)
산업⋅기술동향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미친 영향 (GEM, 5.5)
스마트폰 단일칩시스템의 경쟁 역학 (中 Counterpoint Research, 5.3)
글로벌 연료전지시스템 시장 전망 (日 후지경제, 4.13)
업종 간 협력을 통한 MaaS 시장의 성장 가속 (日 닛코에셋매니지먼트, 4.28)
미국반도체연합 출범 (美 SIAC, 5.11)
유럽 창조산업 최신 기술 도입과 활용 현황 (歐 EC, 4月)
EU의 환경경제 현황 (歐 EC, 5月)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日 교토은행, 5.8)
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 (日 다이와총연, 4.23)
정책동향
44개국의 유효탄소가격 분석 (OECD, 5.5)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의 이행 리스크 분석 (日 일본종합연구소, 4.27)
운송의 탈탄소화를 위한 고려사항 (美 Baker Institute, 5.5)
유럽 신산업전략 업데이트 (歐 EC, 5.5)
영국 커넥티드 자율주행차 분석 보고서 (英 Commons Library, 5.7)
독일-프랑스-이탈리아 제조 협력 전략 보고서 (獨 Platform-I4.0, 5.10)
일본의 직업능력개발 방향 및 주요 시책 (日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 5月)
글로벌 6G 동향 및 발전전망 백서 (中 CCID, 5.7)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녹색성장 전략 (日 JETRO, 4.28)
◈본문
이슈포커스 :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확보를 둘러싼 패권 경쟁 (日 NEDO, 4.30)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산하 기술전략연구센터가 반도체 생태계 확보와 관련한 글로벌 패권 경쟁 양상을 분석
- 글로벌 반도체 및 관련 산업의 국제 분업이 진행되면서 공급망 또한 국경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글로벌화·다양화되는 추세
- GAFA(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IT 기업이 반도체 자체개발을 추진하며 반도체 전문 기업의 합종연횡과 재편 촉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은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대응해 경쟁을 계속해 왔으며 그 결과 국제 분업이 공급 및 수요 측에서 각각 진행
- (수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사업을 영위하는 미국계 기업이 해당 수요를 흡수하며 세계 시장의 약 50%를 점유
※ ▲’19년 글로벌 시장 규모 약 4,100억 달러 중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약 2,600억 달러에 달하며 전체 시장의 60~65%를 차지 ▲글로벌 반도체 매출 비중은 미국계 기업(본사 기준) 49%, 아시아 태평양 38%, 일본 7%, 유럽 6%
- (공급) 미국계 기업이 특정 용도의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반면 대만계 기업은 미세화 경쟁에서 앞서며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를 선도
▣ 반도체 및 관련 산업의 기능과 강점이 글로벌화·다양화되고 세계 각국, 각 지역으로 분산되며 국제적인 생태계가 형성
▣ IoT, AI, 5G, 기후변화, 코로나 관련 데이터 수요의 질과 양이 모두 증대되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생태계 확보를 위한 각국·각 기업의 기술 보호 경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
※ 데이터 자체의 가치가 높아지고 자국 내 반도체 기술·생산 역량 보유 여부가 중요해지면서 각국은 반도체 역량의
자국 회귀를 도모하고 관련국 중시 정책을 더욱 강화
- ▲폭발적인 수요 증가 ▲민간 신기술 경쟁 ▲각국 정부의 기술 보호 등은 글로벌 반도체 경쟁 환경의 구도를 바꾸는 전환점으로 작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유전자치료제 전달체 현황
-
다음글
- 콜롬비아 소비시장 분석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