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

  • 등록일2021-06-14
  • 조회수410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6-0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진단용 의료기기#의료기기 산업 분석#의료기기 정책
  • 첨부파일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 분석 및 정책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의료기기산업의 정의 및 분류
1. 의료기기 정의 및 분류
2.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의 정의 및 분류
 
제3장.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현황 및 미래전망
1.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 개요
2. 진단용 의료기기 분야별 시장 현황 (영상진단기기)
3. 진단용 의료기기 분야별 시장 현황 (생체현상계측기기)
4. 진단용 의료기기 분야별 시장 현황 (체외진단기기)
5. 코로나19 이후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 전망 
6. 소결
 
제4장.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현황 및 경쟁력 분석
 
1.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현황 
2. 진단용 의료기기 산업 경쟁력 분석
3. 진단용 의료기기 특허현황 분석
4. 소결 
 
제5장. 진단용 의료기기산업 육성 정책 및 연구개발 투자분석 
1. 진단용 의료기기산업 육성 정책 현황
2. 진단용 의료기기 국가 연구개발 투자 현황 및 적정성 분석
3. 진단용 의료기기 국가 연구개발 투자의 적정성 분석 
 
제6장. 결 론
1. 연구결과 
2. 정책제언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전문가 설문조사 양식


◈요약문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의료기기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유망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음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을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질병을 진단 또는 예측하는 혁신적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일상 생활로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환자를 중심에 둔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기기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진단・치료에 대한 수요는 체외진단 분야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기 분야 중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진단용 의료 기기 분야의 산업 및 정책 등을 분석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함
 
2. 주요 연구 결과
2.1 진단용 의료기기산업의 정의 및 분류
 
□ 본 연구에서는 진단용 의료기기에 해당되는 품목(분야)을 활용하여 진단용 의료기기를 영상진단기기, 생체현상계측기기, 체외진단기기 등 3개 분야로 크게 분류함
 
○ 각 분야에 해당되는 제품(품묵)을 세부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야의 국내외 시장 및 연구개발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의료기기 품목분류(식약처), 해외시장(GlobalData), 기술・연구개발(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에 해당 되는 유형군을 다음과 같이 매칭함
 
 

1.png

 
2.2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현황 및 미래전망
 
□ 세계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약 735억달러(약 85.5조원) 규모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4.0%로 성장
 
○ 이는 전체 의료기기 시장의 약 16.5% 비중으로, 최근 5년간 진단용 의료 기기 시장은 전체 의료기기 시장의 약 16% 비중을 유지하고 있음
○ 진단용 의료기기 분야별로는 영상진단기기와 체외진단기기가 진단용 의료 기기 전체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음
 
 
□ 국내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약 1.5조원 규모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8.3%로 증가하며 세계 진단용 의료기기 시장과 비교하여 빠르게 성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