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영국 산업 개관

  • 등록일2021-06-17
  • 조회수389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영국 산업 개관


◈목차

 

1. 산업구조

2. 산업별동향

3. 산업정책

4. 규제정책


◈본문


- 서비스 비중이 높은 영국 산업, 코로나19로 큰 타격 입어 -

 

 
- 의약품 분야 꾸준히 성장 중 -
 
- 브렉시트 이후 산업별로 영국의 독자적 규제 확인 필요 -
  
1. 산업 구조
  
영국 통계청(ONS)에 따르면 2020년 영국의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1.9조파운드로 연평균 GDP가 전년 대비 9.9% 감소했다. 이는 경제위기 당시 2009년 연평균 GDP가 4%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2배의 수치에 해당한다.
 
영국의 주요 산업은 크게 서비스(Services), 생산(Production), 건설 분야(Construction)로 나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가 전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 생산, 건설, 농업 분야에서 GDP가 각 8.9%, 8.6%, 12.5%, 9.4%씩 감소했다. 특히 서비스 분야의 경우 2009년 경제위기 때 단지 2.5% 감소한 것을 고려했을 때 코로나19가 해당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소매, 관광, 경영 및 금융을 포함하는 서비스산업은 영국 경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산업 군이다. 
 
 
 

4.png


 
 
2. 산업별동향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의 영향을 크게 받은 서비스 산업에서는 공공 행정 분야만이 성장했다. 서비스 산업에서의 역성장는 2009년 2.5% 감소 이후 처음이었으며 특히 숙박 및 요식업 분야에서 -44% 성장을 기록해 최악의 실적을 보였다. 감소폭이 큰 배경에는 식음료 서비스 분야의 영향이 컸다. 설문조사 기관 MBS(Monthly Business Survey)에 따르면 펍과 식당 및 케이터링 분야에서 매출이 각각 52.3%, 44.9%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레스토랑 및 테이크 아웃이 가능한 업종은 상대적으로 탄력성을 보여 매출이 35.3% 감소했다. 호텔 및 기타 숙박시설 또한 매출이 64.1% 감소했으나 코티지(Cottage)*와 캠핑장을 포함한 기타 숙박 시설은 스테이케이션(Staycation)**의 강한 수요에 힘입어 매출에 대한 타격이 비교적 적었다. 도매, 및 소매업 부문은 생활용품 및 식료품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판매 감소와 연료 사용 감소로 인해 6.7% 역성장했다. 항공 분야 역시 코로나19의 타격을 가장 많이 입은 업종 중 하나로 -74% 성장률을 기록했다. 
  
 * 코티지(Cottage): 영국의 전통적인 주택 유형으로 아담한 단독 주택을 일컬으며 숙식이 가능한 숙박시설로 널리 이용됨
 
**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휴가를 해외로 가지 않고 국내에 머무름을 뜻함
 
 

5.png

 

생산분야의 2020년 성장률은 2009년 7.8% 감소한 것과 비슷하게 8.6% 감소했다. 2019년 1.2% 감소한데 이어 2년째 연속 감소했으며 모든 부분에서 감소했다. 제조업은 생산 분야의 주요 부문인데 2020년 성장이 9.9% 하락했다. 2009년 8.6%에 비하면 1.3pp 하락한 수치이다. 교통 부문 역시 성장이 24.1% 감소했는데 자동차 생산 둔화가 가장 큰 기여를 했다. 항공기 생산도 민간 항공 수요 부족으로 3년 연속 감소 중이며 2020년 26.6% 감소했다.
  
반면에 의약품은 2019년 6.5% 성장한 데 이어 2020년에도 13.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1단계동안 수요가 크게 증가했고 2019년 대비 내수 19.2%, 수출이 12.4% 증가했다.
  
전체 건설 생산량은 2019년과 비교해 2020년에 12.5% 감소했으며 이는 2012년 이후 첫 번째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다. 또한 기록적으로 생산량이 감소했던 2009년(13.2% 감소) 이후 가장 큰 수치이다.


3. 산업정책
  
(산업전략 – Industrial Strategy)
 
영국 정부는 2017년 11월, 산업 전략(Industrial Strategy: Building a Britain fit for the future)을 발표했으며 5가지의 기본 가치를 제시하여 생산성 향상 및 성장 동력을 발판으로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6.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