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의 개념과 사례

  • 등록일2021-06-29
  • 조회수379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6-20
  • 출처
    한국바이오 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as-a-Service
  • 첨부파일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의 개념과 사례


◈목차


요약문

새로운 IT 솔루션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 솔루션과 서비스형 헬스케어 (Healthcare-asa-Service) 솔루션 


◈본문


요약문


최근 들어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개념이 확산하고 있다.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 션은 일차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 상의 컴퓨팅1)에 기반해 IT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변화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하지만 동시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바탕 으로 어떤 것이라도 서비스화되고 있는 더 근본적인 변화 양상인 XaaS(Anything-as-a-Service) 를 지칭하기도 한다.2) 


전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활용에 방점이 있지만 후자는 그 기술을 바 탕으로 서비스화되는 가치(value)에 방점이 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이미징 정보학(imaging informatics)과 인구집단건강관리(Population Health Management),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건강정보연속성(health data continuity), 원격의료(telemedicine) 부문을 중심 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활용이 빠르게 확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 


이에 따라 기존 IT 솔루션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대체되는 변화와 더불어 헬스케어가 서비스화되는 비즈니스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새로운 IT 솔루션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새로운 IT 솔루션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은 클라우드 서비스 즉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IT 솔루션 모델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버 및 저장소의 가상화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이 발전하면 서 가능해졌으며, 사용자가 컴퓨팅 자원과 응용프로그램를 보유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 스 형태로 제공받기 때문에 누구나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제공자 입장에서는 유휴 자원 활 용을 통해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접근성 향상과 기능 업데 이트나 오류 수정 등 신속한 유지보수, 일정 기간 단위 혹은 서비스 사용량 기반 과금을 통한 비 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4) 특히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이 확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생성되면서 빅데이터 플랫폼과 분석(analytics)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1.png

클라우드 서비스는 제공 서비스의 범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서비스 모델로 구분된다. Google에 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예로 들면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인프라)는 서버와 저장소, 네트워킹 등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며 Google Compute Engine이 이에 해 당한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는 인프라에 더해 운영체제와 개발 도구 등 응용프로그램을 개발 및 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며 Google App Engine이 이에 해당한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원격으로 실행하고 인터넷을 통 해 접근할 수 있는 다 만들어진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사용자는 SaaS 사용 을 위해 프로그램의 설치나 특정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Gmail과 Google Docs가 이에 해당 한다. IaaS에서 SaaS로 갈수록 제공되는 범위가 커지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하는 반면 통 제 권한은 감소하게 된다.5) 시장 규모에서는 서비스 개발이 가장 용이한 SaaS 시장이 가장 크게 발달해있으며 북미 지역 유 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80%가 SaaS 기업으로 나타난다. 


세계 공용 클라우드 시장 이 2021년 2,783억 달러로 예상되는 가운데 SaaS가 40.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보유형(on-premises) 인프라나 민간 및 공공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합한 멀 티 클라우드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대한 기업의 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IaaS와 PaaS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6) 


산업 및 분야와 관계없이 활용될 수 있는 SaaS를 수평적(horizontal) SaaS라고 하며, 하나의 특 정 산업에 초점을 맞춘 SaaS를 수직적(vertical) SaaS라고 한다. 이른바 헬스케어 SaaS는 헬스케 어 분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BI)나 물류, 유통 등에 초점을 맞춘 헬스케 어 맞춤형 혹은 헬스케어 전문 수직적 SaaS를 의미한다.7)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Veeva Systems는 제약 및 생명과학 산업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에 초점을 맞춘 SaaS 기업이다. 임상 및 의학, 규제, 품질, 상용 사례 등 생명과학 산업의 다양 한 영역 혹은 단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20년 1월 기준 861개의 생명과학 기업 이 Veeva Systems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바이오 엔텍, GSK, J&J, 머크, 모더나, 노바백스, 시노백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Veeva Systems의 임상시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임상시험 전자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품질 프로세스 통합 플랫폼을 사용하 고 있다. Veeva Systems의 매출은 2016년 4억 9천만 달러에서 2020년 11억 달러로 빠르게 성 장했으며, 전체 매출에서 구독료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8) 

 

사용자들은 Veeva Systems의 SaaS 솔루션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로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정 보 공유 및 협업 촉진을 통한 업무 개선을 꼽고 있다. 예를 들어 제약사들은 다지역/다국가 임상 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임상수행과 규제당국 자료제출 업무 간 통합을 통 해 임상 수행의 효율성과 규제 준수(compliance)를 제고할 수 있다. CRO(임상시험수탁기관)나 CMO(위탁생산) 기업들은 의뢰 기업을 포함 관련자들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그에 따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