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멕시코 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21-07-01
  • 조회수341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멕시코 의약품 시장동향


◈목차


상품명 및 HS Code
시장 규모 및 동향
주요 의약품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유통구조
관세율
시사점

 

◈본문

 

- 멕시코 의약품 시장, 한국 비중 1.2%대에서 동등성계약 및 공공입찰 참가 기회 확대로 지속 성장 예상 -
- 2020년 멕시코 의약품 수입 비중, 항생제재 및 백신류 두드러져 -

상품명 및 HS Code
  

1.png

 
시장 규모 및 동향
 
멕시코의 의약품 시장은 세계 15위로 중남미 2위 시장이다. 멕시코의 인구 고령화 가속과 만성 질환 발생률 증가, 정부 정책 및 주요 협정 타결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USMCA 발효로 의약품의 독점 기간을 10년에서 5년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제네릭 의약품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의약품 매출액은 전년대비 7.8% 증가한 약 68억 달러로 집계된다. 2020년 생산량은 연간 4.5% 성장해 71억 달러를 기록했다.
 

2.png

 
주요 의약품
  
2020년 멕시코의 주요 의약품 판매 품목은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기생충 약 등이 22.4%를 차지하였고 이외 비타민, 수액, 보충제 등이 13%, 소화계 의약품이 9%로 집계되었다. 멕시코에서는 별도의 의사 처방전이 필요 없고 가격이 저렴한 OTC 판매가 강세다. 또한, 소화계 의약품의 판매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국내 장염 유행 및 식습관으로 인한 위궤양, 위염 및 십이지장염이 잦은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신경계 약물은 진통제나 마취제를 주로 소비하며 그 외 심장 질환계 의약품의 수요는 만성질환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png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2020년 기준, 멕시코의 의약품 수출입 규모는 연간 1.8% 성장을 기록, 64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특히, 수입이 77.5%, 수출은 22.5%로 수입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2020년 기준 한국은 수입국 중 18위를 차지, 시장점유율 1.2%를 기록했다.


5.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