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슬로바키아 화장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1-07-08
- 조회수354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7-07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슬로비키아 #화장품시장#슬로비키아 화장품
슬로바키아 화장품 시장 동향
◈목차
상품명 및 HS코드
시장 트렌드
수출입동향
경쟁동향
유통구조
관세율 및 인증
시사점
◈본문
- 코로나19에도 여전히 매장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높아 -
- 최근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 증가로 천연 유래 성분 CPNP 등록 기업은 오퍼해볼 것을 추천 -
상품명 및 HS코드
ㅇ 상품명 : 뷰티 또는 메이크업 제품 등 (Beauty Or Make-Up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etc)
ㅇ HS코드 : 330499
시장 트렌드
슬로바키아에서 화장품 및 스킨 부문이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젊은 소비자의 시장 편입이 빨라졌기 때문이다. 동시에 소셜 미디어, 글로벌 전자 상거래 확산으로 화장품 전반 구매 패턴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다만 향수·스킨케어를 제외한 화장품 판매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춤하여 2020년에 8,1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10 % 감소했다. 화장품 소매 판매량은 2020년 1,400 만 개로 16% 감소하였다. 하지만 Statista에 따르면 전체 미용 용품 시장은 2025년까지 1인당 판매액은 48.89달러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3.7% 상승할 전망이다.
슬로바키아 미용 용품1인당 매출 규모
(단위 : USD)
자료: Statista
2020년에 화장품 소매 판매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이유는 COVID-19로 인해 외출 빈도가 낮아졌고, 파운데이션, 블러셔 및 아이라이너, 립스틱, 립글로즈 등 기초 화장품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프리미엄 화장품은 슬로바키아 소비자들이 가격에 더 민감해지면서 소매 판매가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BB 또는 CC 크림은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비록 소매 가치 판매가 여전히 감소했지만 일부 여성들은 풀 메이크업의 대안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마스크를 써야 하는 여성들은 눈과 손톱 화장에 더 많은 비중을 둔 것으로 보인다. 네일 제품의 판매는 1년 동안 증가한 반면, 눈 화장은 비교적 완만한 감소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UV 램프나 기타 건조 수단이 필요 없는 젤 형식 손톱 광택제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닳은 손톱에 영양을 공급하는 칼슘 함량이 포함된 탄력 손톱광택제(바니시)도 인기가 있었다.
천연 및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도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과 함께 높아지고, 소비자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 물질의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다. 더욱이 슬로바키아 고령화 인구와 피부 트러블의 증가로 인해 잡티를 덮기 위한 메이크업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했다. 천연 착색제와 결합되는 이산화티타늄, 산화 아연 및 마그네슘과 같은 성분을 함유 한 제품 포트폴리오가 증가하고 있으며, 파라벤이나 합성오일이 없는 천연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슬로바키아 천연 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GBP)
자료: Statista
일상이 정상화되면서 화장품 수요는 점차 회복 될 것으로 보인다. 외출이 다시 일상이 되기 때문에 화장품 판매는 2021년부터 반등할 것이다. 다만 소비자가 마스크를 간헐적으로 착용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립 제품 및 얼굴 메이크업에 대한 수요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슬로바키아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에 익숙해짐에 따라 전자상거래 중요성은 유지 될 것이다.
수출입 동향
슬로바키아는 2020년에 미용 용품을 총 1억5천만 달러 수입했으며, 전년 대비 3.48% 증가했다. 체코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37.6%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독일이 15.2% 수준이다. 이후 폴란드, 스페인, 헝가리가 전체 수입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화장품(HS 330499) 수입 동향
(단위 : US$ 천, %)
순위 | 국가 | 2018 | 2019 | 2020 | 점유율(’20) | 증감률(19/20) |
1 | 체코 | 51,037 | 46,782 | 56,072 | 37.35 | 19.86 |
2 | 독일 | 22,293 | 20,193 | 22,830 | 15.21 | 13.06 |
3 | 폴란드 | 22,962 | 21,713 | 22,293 | 14.85 | 2.67 |
4 | 스페인 | 14,250 | 11,794 | 11,408 | 7.6 | -3.28 |
5 | 헝가리 | 7,785 | 8,309 | 6,952 | 4.63 | -16.33 |
6 | 프랑스 | 7,012 | 8,463 | 6,550 | 4.36 | -22.6 |
7 | 영국 | 2,038 | 2,635 | 4,173 | 2.78 | 58.35 |
8 | 네덜란드 | 3,516 | 3,752 | 3,722 | 2.48 | -0.79 |
9 | 이탈리아 | 3,673 | 11,026 | 3,242 | 2.16 | -70.6 |
10 | 그리스 | 752 | 1,144 | 2,572 | 1.71 | 124.78 |
14 | 대한민국 | 146 | 386 | 1,052 | 0.7 | 172.53 |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20년 기준 14위에 해당하며, 금액은100만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2.7 배 상승했다. 이는 슬로바키아 수입 상위 10개국을 비교해봐도 가장 높은 수입 증가율이다.
슬로바키아에서 외국으로 화장품 수출은 2020년 기준 3200만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8.2% 감소했다. 주요 수출국은 체코(27.9%), 오스트리아(18.1%), 헝가리(13.8%), 루마니아(11.4%), 세르비아(5.9%) 순이다. 한국으로 수출은 미미한 편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