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cancer cell therapy 임상시험 전망
- 등록일2021-07-09
- 조회수382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7-09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cancer cell therapy#임상시험 전망
- 첨부파일
cancer cell therapy 임상시험 전망
◈목차
1. 파이프라인동향
2. 혈액 및 고형 종양 적응증의 주요타켓
3. 임상시험개발
4. 글로벌개발
5. 결론 및 전망
◈본문
- 항암면역치료 분야에서 가장 개발이 활발한 분야는 생체내에서 자발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도록 하는 종양백신이나 면역보조제 개발,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그리고 면역세포를 주입하여 직접적으로 종양을 제거하는 면역세포치료제가 있음
- 기존 외과적 수술법, 화학 항암제, 방사선 치료를 통한 항암치료는 환자 맞춤형이 어렵고 부작용의 위험이 있음
- 항암면역치료는 환자 맞춤형이 가능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말기암 환자에도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항암면역치료는 최근 보다 정교하게 발전되고 있으며, 적용타입에 따라 특이성이 높아진 항체, 특정면역세포 및 자극인자 이용, 타겟정확도를 높인 유전자 조작된 면역세포를 이용 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음
파이프 라인 동향
1. 파이프 라인동향
- Cancer Research Institute에 따르자면, 2020년 5월 기준 글로벌 항암 세포치료를 위한 파이 프라인에는 총 1,483건의 약물이 있으며, 2019년과 비교하여 472건의 약물이 증가함
- 세포치료 유형별로 보았을 때,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유형의 파이프라인은 2019년 164건에서 2020년 290건으로 가장 큰 증가를 보였고, CRISPR조작 T-cell 혹은 γδT 등과 같 은 신규한 T세포접근법 및 그 외 대식세포 기반치료제와 같은 세포치료제는 각각 49건, 56건 의 파이프라인이 증가함
-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자연살상(NK)세포의 경우는 2019년 70건에서 2020년 90건으 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기존의 면역세포 기반의 대부분의 치료제가 자가에 국한되는 것 에 비해 NK동종세포치료제가 속속 등장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