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 등록일2021-07-22
  • 조회수708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7-22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항암제기술#면역항암제 시장
  • 첨부파일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목차


1.개요
2.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3.면역항암제 글로벌 시장동향
4.최근 면역항암제 개발 현황
5.기업 및 기업형태별 후기 임상 파이프라인
6.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현황
7.주요 면역항암제 및 치료율
8.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분석 및 특허
9.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PD-1) 항체 특허 분쟁
10.정리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IQVIA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글로벌 의약품 소비규모의 측면에서 선두는 단연 종양 치료제, 즉 항암제 관련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항암제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9~12% 그리고 시장규모는 약 2,730억US$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1.png


항암제 관련 분야에 있어서 지난 5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세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면역항암제 분야는 소비규모(시장규모) 측면에서 전체 항암제 분야 중 20%를 차지하면서 항암 치료제 분야를 선도하는 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됨.

2025년까지 면역항암제는 더욱 향상된 치료를 위한 신규의 선택지로 각광받으며, 시장규모가 500억US$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2.png

본 리포트에서는 항암제 분야에서 여전히 화두가 되고 있는 면역항암제에 관한 기술개발 동향을 정리하고 면역항암제 개발 관련 주요 개발사 및 특허 현황을 확인하고자 함.
 
2. 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면역항암제란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로서, 표적치료제와 달리 특정 표적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어 적용 가능한 환자가 많으며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들 이 가졌던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면역항암제는 크게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면역세포치료제 (immune cell), 치료용 항체(therapeutic antibody), 항암백신(anticancer vaccine)으로 분류할 수 있음.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의 활성을 차단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CTLA-4(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Protein), PD-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1), PD-L1(Programmed Death-Ligand-1)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는데, 2020년 9월 기준 국내에서 승인된 6가지 면역관문억제제는 다음 [표 1]과 같음.
 

1.png

 
3. 면역항암제 글로벌 시장동향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을 설명함에 있어서 세부적으로는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항암백신(Cancer vaccine), 입양세포치료제(Adoptive Cell therapy), 항체기반 표적치료제(Antibody-based targeted therapies),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로 구분하여 설명

2.png


1.png

Frost&Sullivan의 2020년 12월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승인된 PD1/PD-L1 억제제 및 다른 표적치료와 결합한 형태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어 현재 면역관문억제제가 가장 성공적인 형태의 면역항암제로 분류되며 앞으로도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한편, 입양세포치료제 분야 또한 성장이 예상되며 단클론항체 관련 항체-기반 표적치료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4. 최근 면역항암제 개발 현황
 
IQVIA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적으로 700개 이상의 면역항암제가 개발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음. 임상 1상 내지 2상의 초기 임상 파이프라인에는 102종의 기전(mechanism)으로 675개 제품이 개발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 18%가 CD19 및 CD20 표적치료제 이며 9%는 면역관문억제제인 것으로 나타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