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

  • 등록일2021-07-30
  • 조회수5338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1-07-30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산업#코로나 19이후부상
  • 첨부파일
    • pdf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_한국바이오협회.... (다운로드 19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 

- 헬스케어 앱↑, 시장↑, 투자↑, 인수합병↑, 상장↑ -


◈목차


1. 들어가며
2. 코로나19와 디지털헬스산업
3. 미국의 디지털헬스 산업 동향
 
4. 시사점


◈본문


◇ 코로나19 영향으로 건강 및 질병관리 앱 활용이 많아지는 등 디지털 환경에 대한 환자 및 일반인 친화도 급상승
◇ 단순 건강 관리를 넘어 질병 관리 등으로 디지털헬스 어플리케이션 적용 확대 
◇ 글로벌 디지털헬스 시장은 ’20년 1,520억 달러에서 ‘27년 5,080억 달러로 급증 전망
◇ 미국의 경우,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에 투자된 금액은 ’19년 77억 달러에서 ’20년 146억 달러로 두배가 증가, ‘21년 상반기에만 147억 달러가 투자되어 이미 ’20년 투자금액 추월
◇ 우리나라도 법제도 개선 노력과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헬스 케어 기술의 상용화 촉진 필요

1.png


1. 들어가며

○ 2020년 이전부터 개발 중이던 헬스케어의 디지털화는 코로나19 이후 헬스케어 수요의 증가와 의료 인력 공급의 부족의 격차로 인해 단기간에 촉진됨. 

○ 코로나19로 인해 의료계 대면 진료는 원격의료로 대폭 전환되었으며,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디지털헬스를 활용한 보건이 확대되고 있음. 

○ 2020년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 규모는 1,520억 달러였으며 2027년까지 5,08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2. 코로나19와 디지털헬스산업

○ 코로나19로 격리된 생활 속에서 환자나 일반인들은 각자 집에서 디지털치료제, 가상 임상시험 및 진료, 질병관리, 건강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헬스 서비스 활용 추세

○ 2020년 한해에만 90,000개 이상의 헬스케어 앱이 새로 서비스되는 등 현재 350,000개 이상이 사용 중

○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하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단순 건강관리 및 보조 수단을 넘어 질병 모 니터링 등으로 고도화되는 경향을 보임.

 - 운동&피트니스, 다이어트&영양에 대한 적용은 줄어드는 반면, 특정질병, 의료기관&의료보험 관련 활용은 점차 확대 중
 - 특히, 정신질환, 당뇨 등 특정질병 관련 어플 이용률은 ‘15년 10% → ’17년 16% → ‘20년 22%로 급증 추세

2.png


3. 미국의 디지털헬스 산업 동향

○ 디지털헬스 기업에 투자된 규모는 ’19년 77억 달러에서 ’20년 146억 달러로 약 2배 증가하였고, ‘21년은 상반기에만 147억 달러가 투자되어 ’20년 투자 규모를 이미 넘어섬. 

○ ‘21년 상반기 기업간 거래는 48건의 메가딜(1억 달러 이상 투자)을 포함해 372건이 있었으며, 372건의 평균 거래 금액은 3,9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2배 증가한 규모임.

 - 메가딜 중의 메가-메가 딜은 5억 4천만 달러 규모의 다이어트/운동 관련 정보를 모아 건강관리를 도와주는 눔(Noom)에 대한 투자로, 현재까지 이뤄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사상 최대 규모임. 

○ 디지털헬스 기업 M&A는 2020년에 145건이, 2021년 상반기에 131건이 이루어짐.

 - 2020년 8월 미국 최대 원격의료 서비스 회사인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는 미국 최대 원격 모니터링 기업인 리봉고(Livongo)를 185억 달러에 인수함.
 - 금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의료기록 기술기업인 Nuance를 인수하는 등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거대 IT기업들도 기존 이메일서버나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의 강점을 살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로 확장을 적극 모색하고 있음. 

○ 코로나19로 사람들은 집에서 다양한 가상의 케어 및 웰니스 제품을 사용하는데 점점 익숙해지는 등 소비자들의 건강관련 행동들의 변화를 불러 일으켰고 이는 투자 경향에 반영되고 있음.
 - ’21년 상반기에 이루어진 Noom, Ro, Capsule과 같은 메가딜은 투자자들의 D2C(Direct to Consumer, 직접소비자판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것임. 

○ 신규 상장의 경우 ’20년에 7개 기업이 있었으나, ‘21년 상반기에만 11개 기업이 상장됨.

3.png


4. 시사점

 


○ McKinsey 글로벌 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 8조 4천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지출은 2030년에는 14조 5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디지털 헬스케어가 3조 달러의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와 2030년 11조 5천억 달러로 낮춰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 등 디지털 헬스 산업이 헬스케어 비용 절감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함.1)

○ 프랑스의 다국적제약사인 Sanofi의 디지털치료제 글로벌 책임자인 Bozider Jovicevic는 “WHO가 발표한 건강(헬스)의 결정요인을 보면 20%는 의료케어, 20~30%는 행동, 나머지는 환경, 사회, 유전, 정신 등에 기인한다. 기업으로서 Sanofi는 20%에 해당하는 의료케어에 집중하고 있지만, 행동의 변화 또한 큰 요소이다. 미국의 3조 4천억 달러에 달하는 헬스케어 지출액은 질병에 지출 되고 있으나 이러한 질병은 행동적인 변화에 의해 달라지거나 뒤바뀔 수 있다”고 말하며 디지털치
료제에 대한 잠재성을 언급함.2)

○ 한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2020년 12월에 발간한 보고서 따르면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 6조 4,257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음.3) 국내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술적 인 측면에서 봤을 때 이미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실용화 가능한 수준에까지 이른 상황이나, 법 제도적인 문제에 부딪혀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의료 기술력 및 높은 수준의 의료 정보화 인프라 구축에도 불구하고 시장 진출에 대한 규제 문제로 인해 미래 디지털 헬스 시장의 규모를 전망하기 쉽지 않은 상황임.4)

○ 정부에서는 원격의료 시범사업, 모바일 의료용 앱 안전관리지침, 의료기기와 개인용 건강관리 제품 판단기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규제개선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음.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개선에 대한 노력은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의 명확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을 촉진함과 함께 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점에서 꼭 필요함.5)

○ 전문가들은 국내 디지털 헬스의 범주가 불확실6)하므로 우선 범위 정립이 필요하고, 건강보험 수가 적용, 의료기기 인허가 등 법 제도 개선과 의료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국내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제안하고 있음.7),8) 아울러, 이해관계자들간 협의와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을 조속히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음.9)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