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02]G20 HLIP, COVID-19 글로벌 대응방안 제시 등 ~
- 등록일2021-08-11
- 조회수38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8-10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G20 HLIP#COVID-19 글로벌 대응방안#디지털 기술과 기기#델타 변이 바이러스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02(2021.08.09)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목차
포커스
- G20 HLIP, COVID-19 글로벌 대응방안 제시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Google Cloud, 의료기록을 FHIR 표준으로 매핑하는 솔루션 출시
- 미국 헬스케어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 확대
- 영국 NHS Digital, 보건 DB 구축 시 데이터 보호에 대한 검토 실시
- 사우디아라비아 병원, Cerner와 협력관계를 통해 디지털 전환 추진
- 일본, 로보틱스·데이터×통신×IT 융합의 가속화
- 디지털 기술과 기기, 직원들의 정신 건강과 회복을 지원
4대 보건산업
- 미국, Abbott사의 시장 진입으로 LAAC 시장의 경쟁 심화 전망
- 미국, COVID-19 글로벌 대응과 회복 프레임워크 발표
- 유럽 EC, Illumina의 Grail 인수에 대한 반독점 조사 착수
- 유럽 농촌지역, 낮은 출산율과 고령화에 대응하는 보건 서비스 공급이 중요
- 일본 화장품업체 Kao, 매출 부진 극복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투자
- 중국, 외국에서 제조된 COVID-19 백신을 사용하여 추가접종 고려
- 캐나다·영국, COVID-19 백신과 변이 바이러스의 상관관계 연구
- 델타 변이 바이러스, 높은 전염력으로 급속도로 확산
◈본문
G20 HLIP, COVID-19 글로벌 대응방안 제시
G20 고위급독립패널(HLIP)은 COVID-19 팬데믹과 기후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질병 감시 및 연구 네트워크와 세계 각국의 보건 의료 체계에 대한 공급 확대와 같은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의 기금 조성과 혁신 지원 필요성을 제기 |
[1] 개요
□ G20 고위급 독립패널(High Level Independent Panel, HLIP)은 보고서를 통해 팬데믹과 기후 변화를 극복하고 미래에 닥쳐올 또 다른 팬데믹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
신규출현, 재출현 및 의도적 출현 전염병 사례
○ ’21년 7월 9일, G20 HLIP은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에게 COVID-19 대응을 위한 재원 조성 및 위원회 신설 등을 제안하는 공식보고서를 제출
○ G20 HLIP은 글로벌 차원의 팬데믹 공동 대응에 대한 자금 지원을 논의하기 위해 ’21년 1월 26일 창설된 기구
○ 재정 및 거버넌스 분야의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Bruegel, 글로벌 발전 센터,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 웰컴 트러스트 등 민간기구가 지원하는 조직
○ G20 HLIP는 팬데믹대응독립패널(Independent Panel for Pandemic Preparedness and Response, IPPPR)과 글로벌대응모니터링위원회(Global Preparedness Monitoring Board, GPMB) 등의 부속 기구를 운영
[2] 국제적 공조와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투자 확대 필요
□ G20 HLIP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세계를 만들고, 민간부문과 힘을 합쳐 보다 신속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앞으로 닥쳐올 문제들을 예방하고 국가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기술한 4가지 측면에 대한 국제적 공조와 역량강화를 강조
○ 글로벌 감시 및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미래에 발병 가능한 감염병을 예방하고 빠르게 찾아내는 역량을 육성
○ 각국 시스템 회복을 증대하여 글로벌 팬데믹 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한 중요한 인프라를 강화
○ 의료적 조치와 다양한 공급역량 확대를 통해 팬데믹에 따른 대응 시간과 적절한 의료용품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이 필요
○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팬데믹 대응 시스템이 보다 긴밀하게 협조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자금 지원과 활동 결과에 대한 투명한 책임이 부여되는 형태의 거버넌스를 마련
□ 국가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
○ 팬데믹 예측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자금인 향후 5년간 최소한 750억 달러, 매년 150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자금이 조성될 수 있도록 세계 각국 정부들의 참여가 필요
○ 이러한 투자 금액은 팬데믹의 예방과 대응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신규 투자의 최소한의 규모이며, 투자금액에는 미래의 팬데믹에 대응하는 회복력과 관련된 금액이 포함되지 않은 수치
○ 가장 중요한 점은 이러한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신규 투자는 지금 시행되고 있는 글로벌 공공 보건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발전시키는 목표를 지원하는 현재의 투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투자 규모에 추가적인 신규 투자를 의미
[3] 보건과 자금 지원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 강화 필요
□ 전염병의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강력한 거버넌스가 결여된 상태에서 자금지원 만으로는 안전한 세계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보건 시스템 협력 기구가 필요
○ 글로벌대응모니터링위원회(Global Preparedness Monitoring Board)에 따르면, 글로벌 차원의 팬데믹 대응 시스템은 매우 분산되어 있으며, 복잡할 뿐 아니라 책임 분야도 불분명하고, 팬데믹 대응에 있어서 자금 지원의 중요성을 간과
○ 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를 중심축으로 하는 글로벌 보건 안전과 재정 지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거버넌스 메커니즘인 ‘글로벌보건위협위원회(Global Health Threats Board, GHTB)’ 설립이 필요
* 초기에는 글로벌보건위협기금(Global Health Threats Fund) 주도로 자금을 조성하고, 글로벌대응모니터링위원회
(Global Preparedness Monitoring Board)를 과학 자문 패널로 개편
○ GHTB는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20에서 설치한 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를 모델로 한 것으로, 이 기구의 신뢰성과 포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G20를 위시한 많은 국가들의 보건 및 재무장관과 주요 국가기구의 수장들이 참가하는 형태로 구성
○ 이 위원회는 또 다른 팬데믹 확산에 대한 예방, 신속한 대응을 위해 적절한 자원을 적시에 동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금융 지원을 관장하는 역할을 수행
□ 미래의 팬데믹에 대응하는 글로벌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도에 대한 지원 확대와 함께 글로벌 공공재의 빈틈을 메꿀 수 있는 새로운 다자간 금융 지원 시스템이 요구되며, 아래에서 제시되는 4가지 전략적 행동이 필요
○ 세계 각국은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사전에 협의된 형태의 공평한 분배 비율로 글로벌 보건 안전을 위한 자금 조성에 나서야 할 것이며, 새로운 재원 조달 및 자금 지원 방법이 포함된 이러한 자금 조성 방법은 WHO의 강화와 개혁을 통해 달성이 가능
○ 이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 자금 지원에는 세계은행과 다양한 다자간 개발기구, 국제 통화 기금과 같은 국제 금융 기관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 국제 금융 기관들은 팬데믹 대응 재원 투자 확대와 함께,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
○ 사전에 합의된 기여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글로벌보건위협기금(Global Health Threats Fund)을 조성하여, 전염병 감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대규모의 보조금을 공여하고, 민-관 파트너십에 의한 신뢰에 기반한 자금을 조성하고, 연구개발과 혁신을 지원
* 글로벌보건위협기금(Global Health Threats Fund)을 설립하고, 매년 100억 달러 규모의 재원 조성
○ 이러한 다자간 보건 시스템의 구축은 기존의 양자간 공적자금원조(ODA)와 민간 및 박애주의적 부문의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