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1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 등록일2021-08-19
  • 조회수366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8-1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보건산업고용동향
  • 첨부파일


2021년 1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목차


일러두기 

한 눈에 보는 보건산업 고용동향 
보건산업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의료서비스 
신규일자리 
요약표 


◈본문


일러두기

 
1. 본 동향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DB를 기초로 2021년 1분기「보건산업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2.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씨들이 중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의료서비스 등 제조 및 서비스업에 해당하는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의 고용보험 순수 피보험자 수를 71준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 보건산업 분류 기준>


 산업 한국표준산업분류 (KSIC-10) 
의약품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21101),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21102),완제 의약품 제조업(21210),한의약품제조업(21220) 
 의료기기 방사선 장치 제조업(27111),전71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27112), 치과용 7171 제조업(27191), 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27192), 안경 및 안경렌즈 제조업(27193), 의료용 가구 제조업(27194), 그 외 기타 으!료용 기기 제조업(27199),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 제품 제조업(21300) 
 화장품 화장품 제조업(20423) 
의료서비스  종합병원(86101),일반병원(86102),치과병원(86103),한방병원(86104),요양병원(86105), 일반의원(86201),치과의원(86202),한의원(86203), 방사선진단 및 병리검사 의원(86204) 


3. 종사자 수(명) 및 사업장 수(개소)는 고용보험 피보험자(적용 사업장)의 해당 분기 3개월 평균값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4. 용어해설
 ○ 고용보험 :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사업을 비롯하여 고용안정사업과 직업능력사업 등의 노동시장 정책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사회보장보험으로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 및 사업장을 대상으로 적용

 ○ 피보험자 :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근로자
※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주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국가 공무원법」및 
「지방공무원법」에 따른 공무원,「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자 등은 적용 제외 대상임

○ 적용사업장 : 사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인적,물적 시설이 존재하는 장소적 범위를 의미하며,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고용보험 적용대상이 됨
※ 농업,임업,어업 및 수렵업 중 4인 이하 근로자를 고용하는 비법인사업,공사금액이 고시금액이하인 건설공사 등은 적용제외
 
 ○ 연간 수치는 해당 연도 4분기 데이터로 간주함
 
 


2.png


5. 신규 일자리 수(개)는 최초 고용보험 신규 취득에 해당하는 자의 해당 분기 월별 합산값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 전체 보건산업 분야의 신규일자리는 총 93개 직종이며, 그 중 산업별 상위 5개에 해당되는 직종만 작성하였음
 
6. 수록된 수치는 단위 미만 수를 반올림 한 것이므로 통계표 내의 합계 및 증감 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7. 수록된 자료는 보건산업통계 홈페이지(http://www.khiss.go.kr)에서 이용가능하며,수록된 내용에 대하여 문의사항이 있을 때에는 한국보건산업 진흥원 산업통계팀(S043-713-8417)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