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카자흐스탄 식품산업

  • 등록일2021-10-06
  • 조회수376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2021년 카자흐스탄 식품산업

 

◈ 목차

 

카자흐스탄 식품시장 개요

산업정책

산업특성 및 동향

최신기술동향

주요이슈

수출입 동향


◈ 본문

 


- 카자흐스탄 식품산업,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

- 밀제품, 육류 등 일부 품목은 인접국으로의 수출 증가 중 -
 
 
카자흐스탄 식품시장 개요
 
 
2020년 기준, 카자흐스탄 식품 산업은 총 생산실적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약 44.7억 달러를 기록했다. 카자흐스탄 식품 산업에는 약 150만 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약 2,564개의 기업이 존재하고, 이 중 소기업은 2,400개, 중기업 115개, 대기업 49개이다. 식품기업은 카자흐스탄 전체 기업 중 1%에 불과하나, 전체 제조기업 중 비중은 14.6%에 달한다.
 
 
식품산업 분야별 생산 비중(2020년 상반기 기준)
 

1.jpg

자료 : 카자흐스탄 통계청
 
 
2020년 기준, 식품생산 상위 5개 지역은 알마티주(14.0%), 알마티시(13.4%), 코스타나이주(11.9%), 동카자흐스탄주(8.1%), 북카자흐스탄주(7.3%)이다. 반면, 식품산업 발전이 가장 더딘곳은 인구가 적은 아트라우주와 망기스타우주이다. 알마티는 가장 큰 소비시장을 보유하고 있음과 동시에 물류 인프라가 발달되어 제품 수출입에 유리한 환경이다.
 
 
주요 지역별 식품생산 비중(2020년 상반기 기준)
 

2.jpg

자료 : 카자흐스탄 통계청
 
 
주요 지역별 음료생산 비중(2020년 상반기 기준)
 

3.jpg

자료 : 카자흐스탄 통계청
 
 
산업 정책
 
카자흐스탄 정부는 非자원 분야 육성, 산업 다각화를 목표로 다양한 산업 육성 정책들을 수립하였다. 자국기업을 육성 후, 수출기업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괄목할만한 성과는 없는 상태이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제조업-2020 프로그램'을 통해 제조업, 가공업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 계획을 설정했고, 수혜 대상 기업들은 정부로부터 대출이자를 지원받거나, ERP, Lean과 같은 시스템과 자동기술 도입에 소요된 비용, 공장 설계 및 디자인에 소요된 비용 등을 지원 받을 수 있었다.
 
또한 2019년 토카예프 대통령은 창업 활성화, 제조업 발전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2020년부터 3년 간 중소기업, 개인사업자의 법인세를 면제하는 정책을 폈다. 식품 산업만을 한정한 정책은 아니지만 식품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동 정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세금수입이 감소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제조업, 무역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의 발전이 기대된다. 또한, 대통령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불시단속과 감사가 증가했다며 2020년부터 3년간 중소기업, 개인사업자에 대한 부당한 감사와 불시단속을 금지시켰다.
 
산업 특성 및 동향
 
카자흐스탄 식품 산업은 국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여전히 해외 수입이 많은 편이다. 2013년 이후 지속된 환율 상승으로 수입여건이 악화되었지만,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으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물류가 편리한 러시아 및 CIS 제품의 수입이 증가했다. 하지만, 최근 카자흐스탄 식품산업 발전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식품 수입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카자흐스탄에서 생산된 자국산 식품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