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의료기기 시장 진출 길라잡이, 메디컬 웨비나 개최(1편)
- 등록일2021-10-15
- 조회수389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0-13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메디컬#웨비나#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 진출 길라잡이, 메디컬 웨비나 개최(1편)
2021-10-13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 박승석
- 건강보험제도 도입과 소득 수준 향상으로 의료기기 시장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
- 자국산 사용 정책 확대 및 각종 인허가 제도 등 장벽이 존재해 면밀한 사전검토 필요 -
◈목차
웨비나 개요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 진출 전략
1)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1-1) 시장 규모
(1-2) 주요 기업 및 협회
2)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 및 유의사항
(2-1) 품목별 인허가 등록 등급
(2-2) 인허가 종류
(2-3) 인허가 등록 시 유의사항
3) 의료기기 판매 참고사항
(3-1) 할랄 인증
(3-2) 수입 불가 네거티브 리스트
(3-3) 인도네시아 국산부품사용비중(TKDN)
(3-4) 인도네시아 보험제도
(3-5) 정부정책
4) 의료기기 시장 진출전략
(4-1) 토탈 솔루션 방식
(4-2) 교육과 같은 차별화된 방법을 통해 주요 고객 네트워크 직접 관리
(4-3) 인도네시아 투자진출(현지생산)
(4-4) 할랄 인증 대비
시사점
◈본문
한국과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7년 체결된 보건의료 협력 MOU를 플랫폼으로 삼아 코로나19, 제약, 바이오,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양국 보건부 장관 화상면담을 통해 한국의 진단(Test), 추적(Trace), 치료(Treat) 전략을 함께 공유하고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고 5월에는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여러 의료 바이오 기업들과 협력 논의를 가졌다. 우리 기업들도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치료제, 그리고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진출하고 있다.
이에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에서는 주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같이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인도네시아 메디컬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번 웨비나를 통해 의료기기 분야 우리 기업들의 진출 시 참고할 만한 부분과 원격의료와 코로나 19 방역과 같이 우리 기업들이 주로 관심을 가지는 분야 동향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내용이 방대한 관계로 2회에 걸쳐 나누어 작성했다. 이번 뉴스에서는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다루었다.
웨비나 개요
한국-인도네시아 메디컬 웨비나 개요
일시 | 2021년 9월 29일 14:00 - 16:30(한국 시간) |
참석자 | 2021년 9월 29일 14:00 - 16:30(한국 시간) |
연사 | ㅇ 인도네시아 보건부 Drg. Arianti Anaya 차관보 ㅇ PT. Sumo Teknologi Solusi(Alodokter) Dr. Louise Hewitt CMO ㅇ LX 인터네셔널 김명훈 차장 ㅇ 대웅인피온 서창우 법인장 |
주요 내용 | ㅇ 인도네시아 보건의료 정책 변화에 따른 협력 기회 ㅇ 인도네시아 원격의료 현황 및 전망 ㅇ K-방역의 인도네시아 진출 성공사례 ㅇ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 진출 전략 |
애플리케이션 | Youtube(클릭 시 다시보기 이동) |
행사 사진 |
|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