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러시아 팬데믹 백신·치료제 제약산업 및 진출방안
- 등록일2021-10-19
- 조회수407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0-12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러시아#펜데믹#백신#치료제#제약산업
- 첨부파일
러시아 팬데믹 백신·치료제 제약산업 및 진출방안
◈목차
Ⅰ. 러시아의 코로나 팬데믹 현황
1. 2021년 상반기 러시아의 팬데믹 대응 현황
2. 한-러 경제교류 현황
Ⅱ. 러시아 제약산업 일반 현황
1. 러시아 제약산업 일반 개요
2. 팬데믹에 의한 러시아 제약산업 변화
3. 러시아 제약산업의 국제협력
Ⅲ. 러시아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1. 러시아 백신 개발 현황
2. 코로나19 치료제 시장 현황
3. 러시아 동물의약품 및 백신 시장
Ⅳ. 한-러 팬데믹 제약산업 협력방안
1. 러시아 의약품 현지 등록⋅인증 제도
2. 한국·외국계 기업의 진출 사례
3. 러시아 제약산업의 한국기업 진출전략
부록. 언론기사 스크랩(팬데믹, 백신⋅치료제 개발, 확진자 등)
◈본문
요 약
□ 러시아 제약산업 일반 현황
ㅇ (정부) ’21년4월, 푸틴 대통령 연례교서의 보건·의료·복지 집중
☞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와 디지털 의료 확대 강조
- (정부지원) ‘제조업 발전 전략 2035’를 근간, 의약품·의료기기의 생산성 증대, 혁신 및 기술 경쟁력 제고, 수입대체화 추진
ㅇ (제약산업) 러의약품시장규모는세계15위(2.2% 비중), 2020년동안 전년대비 23% 증가와 2023년까지 연 4~6% 성장세 유지 전망
- 성장 모멘텀은, △정부지원확대, △백신개발 탄력, △글로벌 기업의 현지진출 활발 등임.
* (유럽) Sanofi, Novartis, Byer, Johnson&Johnson, GSK, (한국) 녹십자, 셀트리온, SK케미컬 등
□ 러시아의 코로나 팬데믹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ㅇ (백신) 스푸트닉V, 에피박코로나, 코비박 등 벡터·불활성화·아단위 단백질 방식으로 개발 완료 및 상용화
* (세계) 아스트라제네카(영·스웨덴), 화이자(미·독), 모더나(미), 노바백스(미), 시노백(중) 등이 대표적
** 스푸트닉V: 세계 최초 개발이라는 뜻으로 ‘스푸트닉’지칭, 92% 효과, 인도·브라질 등 생산진출(연 1억 도스 목표), 한·중앙아 등 CMO 진출
ㅇ (치료제) 러 순수개발 치료제는 전무, 덱타메타손·코로나비르·아레플리비르·아비파비르·렘데시비르 등 글로벌 제약사 현지생산 진출 중
□ 한-러 팬데믹 제약산업 협력방안
ㅇ (제약) 러 수입대체화 정책 활용 ☞ 기술협력·합작·제조투자
ㅇ (백신·치료제) 원격진료서비스 등의 우수기술 공유·한국 상용화 기술협력·인적교류·CMO/CDMO·러노후장비산업인프라자본투자등
* (협력사례) 셀트리온·종근당·일양약품·녹십자 등
** (대표적 CMO) 스푸트닉V 양산, 휴온스·GL Rapha·엠피코퍼레이션 등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