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中, 부족한 의료서비스 보완하는 의료로봇의 확산
- 등록일2021-10-21
- 조회수337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0-2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서비스#의료로봇#동향
中, 부족한 의료서비스 보완하는 의료로봇의 확산
2021-10-19 중국 톈진무역관 진호양
- 수술, 진단, 재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 -
◈목차
시장동향
분야별 의료로봇
① 수술 로봇
② 진단보조 로봇
③ 재활 로봇
④ 의료 서비스 로봇
의료료봇 기업동향
시사점
◈본문
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의료로봇의 연구개발이 심화되면서 의료로봇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의료로봇은 높은 의료효율과 정확성 덕분에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환자들의 의료비용도 낮춘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로는 효과적인 방역을 위한 의료로봇들이 다수 등장했다.
시장동향
중국 내 의료 지출 및 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부족한 의료서비스로 인해 의료로봇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2020년 중국의 의료지출 총액은 약 7조 위안으로 이는 2014년 대비 2배 규모이며 의료 지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암 환자 수는 2015년 392만 명에서 2020년 457만 명으로 증가하고 재활병원 입원환자 수는 2017년 75만 명에서 2019년 90만 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증가하는 의료 수요에 비해 의료 서비스 공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중국의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020년 기준 2.9명으로 OECD 국가 평균인 3.6명 대비 낮은 수준이다. 또한 도농 간 천 명당 의사 수는 2배 이상 차이나며 양질의 의료를 제공받기 위해 대형병원으로 환자가 밀집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기술 투자가 확대되면서 의료로봇의 공급도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2020년 의료로봇 연구개발 투자금액은 43억 위안으로 2019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또한 올해 1~4월에는 의료로봇 투자가 로봇 투자 전체의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1억 위안 이상의 규모다.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의료 로봇의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전년대비 37.5% 증가한 43억2000만 위안을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79억6000만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의료 로봇 시장 규모 변화
(단위: 억 위안)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분야별 의료로봇
국제로봇연합회 IFR에 따르면, 중국의 의료 로봇은 수술, 재활, 진단·처방 등 의료 보조 및 의료 연관 서비스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로봇을 생산하고 도입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병원 및 방역현장에서 진단, 소독, 물품운송 등 다양한 업무를 지원 가능한 의료로봇들이 등장했다.
① 수술 로봇
수술 로봇은 오차가 적고 안전성이 높으며 수술시간은 줄이는 반면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중국에서는 내시경 수술로봇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06년에 최초로 병원에 도입돼 2020년에는 189대가 도입됐으며 연평균 76% 증가하고 있다.
중국 내시경 수술 로봇 도입 대수
자료: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술 로봇은 복강경, 정형외과, 신경외과, 혈관 개입 등 다양한 수술에서 훌륭한 보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최소 침습 수술에도 보급되기 시작했다. 베이징시 하이뎬병원 정형외과에서는 로봇을 활용해 쌀알 크기 이하로 수술 부위를 절개할 수 있으며 오차도 밀리미터 급으로 줄여 환자의 수술 중 출혈량을 대폭 줄였다. 2020년 5월부터 수술 로봇을 도입했였으며 2021년 8월 말까지 400여 건의 로봇 수술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정책동향 2020~2023 핵심 바이오헬스정책연구 2025-02-14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24] 영국, 민간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의료관광객 800% 급증 2024-09-06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4]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2024-07-02
- 정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2] 미국 AI 정책 로드맵: 의료분야 데이터 거버넌스 투자 강화 필요 2024-06-20
- 기술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0] 호주의 전자건강기록 및 전자처방에 관하여: 호주 지역약국의 기술 활용방안 모색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