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12] 중국 보건의료, 데이터 주도 기술로 발전 등~

  • 등록일2021-10-26
  • 조회수391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0-2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블록체인#FDA #유전자치료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12(2021.10.25)-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s


◈목차


◈ 포커스
   - 중국 보건의료, 데이터 주도 기술로 발전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Intel 등, 임상시험관리를 위해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 
   - 미국 Paige, AI 병리진단 솔루션으로 FDA 승인 획득 
   - 유럽 EIT Health, 알츠하이머 연구·관리 지원
   - 베트남, 통합 ‘PC-COVID’ 앱 출시 
   - 헬스케어산업, AI 기술 승인 동향
   - 웨어러블,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 4대 보건산업
   - 미국 ATP, 유전자치료플랫폼 회사인 Intergalactic에 투자
   - 미국 Boston Scientific, Baylis Medical을 인수
   - 영국 AstraZeneca, COVID-19 장기항체치료제 EUA 신청 
   - 유럽, 보건비상대응체계 HERA 출범
   - 일본, COVID-19로 재점화된 주치의 제도 도입 논의
   - 화장품 업체, 친환경 점수 시스템의 공동 개발계획 발표 
   - COVID-19, mRNA기술을 이용한 백신 개발을 가속화
   - 비전염성 질환, 전 세계에서 주요 사망원인으로 부상 


◈본문


중국 보건의료, 데이터 주도 기술로 발전
중국의 의료분야의 연구는 중국 정책 당국과 CNCB, NSFC, NGDC 등의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정책과 자금지원, 학제적 연구에 친화적인 학계의 분위기 등을 기반으로 컴퓨터와 기계공학에 기초한 데이터 중심의 과학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연구성과나 투자 금액 측면에서 중국은 이미 미국을 추월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품질이나 관련 규제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평가
 
[1]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중국 보건의료 장기발전계획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의료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정책적 노력에 초점
■ 중국국립바이오정보센터(China National Center for Bioinformation, CNCB)를 중심으로 오픈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고 COVID-19와 관련된 흉부 X-레이 사진을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 세계의 연구진들과 데이터를 공유
■ 중국 국립보건위원회나 교육부는 의사들이 AI나 정보과학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장려 중국은 AI, 중앙집중화된 보건의료 데이터의 수집, 및 연구자들간의 협력 문화를 기초로 장기간에 걸친 계획과 투자를 추진 중
■ 지난 10년 동안 중국 중앙정부는 중국의 의료 연구를 컴퓨터와 기계 공학에 기초한 데이터 중심의 과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꾸준히 투자를 진행
■ 특히 중국 특유의 학제적 연구 분위기는 이러한 의학의 전환에 가속도를 더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공공분야나 학계는 물론이고 민간 영역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
■ ’11년부터 시작된 중국의 제12차 5개년 계획이 진행된 이후, 의료 정보화 분야에 중국 정부가 투자한 금액은 100억 위안, 미화 15억 달러를 상회하였으며, ’10년부터 AI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 중국자연과학재단(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NSFC)이 AI 분야에 투자한 금액은 ’06~10년 기간 중 46억 달러에서 ’16~20년 기간 중 196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 ’00~17년 기간 중 매년 17%씩 증가한 이러한 연구비 투자의 결과, 중국과 미국의 R&D 투자 격차는 빠르게 축소되었는데, 미국과학재단(NSF)의 ’19년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R&D 투자 금액 면에서 미국을 추월
 
￿주요국 컴퓨터과학·AI·바이오엔지니어링 분야 논문수 비교 (천건)￿

20211026_094418.png

 
[2] 중국의 데이터 주도형 보건의료 기술의 발전 동향
’17년 구글이 개발한 AI 바둑 프로그램 Alpha Go가 가장 어렵고 추상적이라고 생각했던 바둑 분야에서 컴퓨터가 인간을 이긴 이후, 중국에서 AI에 대한 인식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시작
■ COVID-19에 의한 사망률 예측을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예측하는 연구가 제시되는 등, 질병 진단 분야에서 정확성을 개선하는 작업들이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 중국 국립바이오정보센터(CNCB)와 국립유전체데이터센터(National Genomics Data Center, NGDC)가 ’19년에 설립되면서, 중국의 유전체 관련 연구가 본격화
■ 중국의 CNCB나 NGDC는 광범위한 유전체 관련 데이터를 축적, 관리 및 처리함으로써, ’80년대 초반에 설립된 미국의 GenBank나 유럽의 유럽 뉴클레오티드 아카이브(European Nucleotide Archive)와 같은 역할을 수행
■ CNCB와 NGDC는 ’21년 1월 COVID-19 바이러스의 유전체, 뉴클레오티드 및 단백질의 염기 서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COVID-19의 염기서열, 관련 질병 데이터, 유전자 변이형 데이터를 발표하는 등의 가시적 성과를 제시
* 뉴클레오티드는 염기 하나와 오탄당 하나, 한 개 이상의 인산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염기에는 아데닌(adenine:A), 구아닌(guanine:G), 시토신(cytosine:C), 티민(thymine:T), 우라실(uracil:U)이 있는데, 생물체 내에서 중합반응을 일으켜 핵산을 형성하여 RNA나 DNA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