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국제 제약포럼 참관기
- 등록일2021-11-29
- 조회수327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1-24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코트디부아르#제약#제조
코트디부아르 국제 제약포럼 참관기
2021-11-24 코트디부아르 아비장무역관 정현철
- 코트디부아르는 의약품의 대부분을 수입 -
- 중앙구매센터 등 의약품 유통경로에 대한 세밀한 이해 필요 -
- 의약품 공업지구, 관련 물품에 대한 면세제도도 시행 될 것으로 고려되어 적극 활용 필요 -
◈목차
코트디부아르 국제제약포럼 개요
코트디부아르 제약시장의 특징 : 높은 수입 의존도
코트디부아르 제약시장 주요 도매상 및 제조업체
코트디부아르 제약업계 현장 인터뷰
시사점 및 전망
◈본문
코트디부아르 국제제약포럼 개요
코트디부아르 제 21회 국제제약포럼은 2021년 10월 13일부터 16일까지 소피텔에서 개최됐다.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미주 등 30개국 연구원, 교수, 약사, 도매상, 공중 보건전문가, NGO, 기술 및 금융관련 전문가 등 약 1500명이 참가했다.
자료: KOTRA 아비장 무역관 자체촬영

자료: KOTRA 아비장 무역관
코트디부아르 제약시장의 특징 : 높은 수입 의존도
코트디부아르 현지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은 주재국 수요의 6~7%를 공급하는 수준에 그치며, 90% 이상은 수입 의약품이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이렇게 많이 수입을 함에도 불구하고 코트디부아르 자국 내 수요의 30% 정도만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코트디부아르 의약품(HS Code 3006) 수입현황
(단위: 달러, %)
자료: GTIS
코트디부아르 제약시장 주요 도매상 및 제조업체
이번 포럼을 통해 다양한 도매·유통업체들과 의약품 제조업체들이 소개되며 제약업계 이해관계자들의 주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다. 특히, 의약품 제조에 필요한 원료를 정확히 어떤 회사와 연락해야 하는지에 대한 핵심 정보도 일부 제공됐다. 전국 1100개 약국에 의약품을 유통하는 도매·유통업체들은 시장점유율 36%의 UBIPHARM(구 LABOREX), COPHARMED (24%), DPCI (15%), TEDIS PHARMA CI 그리고 최근에 라이선스를 취득한 CODIPHARM 등이다.
몇개 안되는 제조업체들은 Pharmivoire Nouvelle, Cipharm, Lic-Pharma, Oléa, LPCI, Pharma 5, SAIPH 등이며 주로 제네릭 의약품을 취급하고 있는 수준이다. R&D, 고분자 개발, 화학성분 합성, 생명과학 분야에서 파생된 값비싼 의약품 제조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게다가 보조금을 받고 특허를 보유한 다국적기업들과 직접 경쟁을 해야 해 지속적인 성장도 어려운 상황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