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일본 의약품 CDMO 시장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21-12-02
  • 조회수429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일본 의약품 CDMO 시장 현황과 전망


2021-11-29 일본 오사카무역관 안재현

-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은 진입단계 -
- 경제안전보장법 제정 및 전략물자 확보에 의약품 포함돼 의약품 생산이 중요해질 전망 -
- 후지필름, 연속 생산방식을 활용해 업계 상위 포지션으로 도약을 노리는 중 -


◈목차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확대와 CDMO 성장
일본 CDMO의 현황 및 투자 계획
시사점



◈본문


일본은 제약 산업이 크게 성장한 나라 중 하나이다.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일본의 제약시장도 같이 성장했는데 다양한 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과 함께 현재 떠오르는 분야가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이다. 반도체 산업과 비슷하게 의약품 시장에서도 수평 분업이 점차 퍼져나가면서 CDMO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며 다른 업종에서의 참여가 이어지고 있는데 일본 내 주요 기업과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확대와 CDMO 성장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의약품이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왔다. 2019년에서 2026년까지 바이오 의약품의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9.6%로 종래 의약품의 연평균 성장률 5.5%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매출액 상위 100위 권에 드는 의약품에 한정할 경우 2019년 기준 바이오 의약품 점유율이 50%를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 처방전 제약·OTC 약 매상액 추이>

20211119091530203_QAHUKQH8.jpg

[자료: 경제산업성]
 
바이오 의약품은 기존의 화학합성 의약품에 비해 연구 개발비용이 크고 설비투자 및 품질 관리 비용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개발비의 경우 저분자 의약품이 평균 200억~300억 엔이나 바이오 의약품은 500억~1000억 엔으로 알려졌으며 바이오 의약품의 설비 투자 비용은 화학 합성품의 3~10배, 품질 관리 비용은 화학합성품의 1.3~1.8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제약회사의 부담이 커지는 점과 함께 치료 수단이 항체 의약, 세포의료, 유전자 치료 등 다양화되면서 제약회사의 신규 약 개발 및 마케팅이 더욱 어려워졌다. 또한 신약 개발에 들어가는 노력 및 난이도가 더욱 높아지면서 의약 분야에서의 수평 분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제약회사는 연구실에서 약의 종류를 찾는 연구에 집중하고 임상실험 및 양산화 등은 CDMO에 위탁하는 흐름이 정착되고 있다.
 
<바의오 의약품 글로벌 주요 기업>

20211202_101536.png

[자료: 닛케이]
 
의약품 원약 CDMO 시장은 2020년 현재 257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2024년 에는 352억 달러(3조7000만 엔)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유전자 세포치료제와 바이오 의약품의 2020-2024 연평균 성장률이 각각 31%, 10%로 예상되며 유전자 치료, 세포치료 분야에서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