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11월 바이오안전성 주요 뉴스

  • 등록일2021-12-14
  • 조회수335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21-12-14
  • 출처
    한국바이오안정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GM#GMO#유전자변형
  • 첨부파일


2021년 11월 바이오안전성 주요 뉴스


◈목차


1.  브라질, GM밀가루 수입 허용
2. 인도와 중국, GMO관련 규제 개선
3. 기타 단신
4. 다양한 GMO 연구개발 사례



◈본문


1. 브라질, GM밀가루 수입 허용
□ 브라질 CTNBio는 세계 처음으로 아르헨티나産 GM밀가루의 수입을 승인
ㅇ 수입 승인은 밀가루에만 해당되며, 이를 허용함으로써 브라질이 GM밀을 수입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됨
 
□ 아르헨티나에서 2020년 가뭄내성 GM밀의 상업적 이용을 승인하였고, Bioceres社가 브라질 정부에 수입 신청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브라질 제분업계는 승인을 반대해 왔음
ㅇ 브라질은 소비량의 60%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그중 80%를 아르헨티나에서 수입하고 있음
 
□ 업계는 세계적으로 GM밀의 수입을 허용한 국가는 없고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 승인을 철회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함과 동시에 밀가루 수입시장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언급
ㅇ 미국, 캐나다, 우크라이나에서의 밀가루 수입량을 늘릴 수 있지만 그 비용이 업계와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으로 전망
 
□ 아르헨티나 수출업계는 GM과 non-GM간 교차 오염 가능성으로 아르헨티나産밀이 기피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정부에 안전장치를 요구하고 있으며, GM밀을 개발한 Bioceres社도 브라질의 주요 수입업체로부터 확인을 받고 소비자들의 반응을 고려한 후 제품을 상업화할 것이라고 밝힘
 
□ 자세한 내용은 ‘[KBCH브리핑] 가뭄내성 GM밀 승인’ 참조 
 
2. 인도와 중국, GMO관련 규제 개선
□ 인도 식품안전표준청(FSSAI)은 GMO 사전 승인 절차와 안전성 평가 및 표시 기준, GM식품 평가를 위한 실험실 지침을 제시하는 규제초안을 발표
 ㅇ 주요 내용
 - GMO에서 파생된 식품 또는 식품 성분을 국내에서 제조, 저장, 유통, 판매, 수입할 경우 사전 승인 필요
 - GMO 함량이 1% 이상 포함된 식품에 대해서 ‘GMO/GMO 유래 성분 함유’라는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음
 - 살아있는 변형생물체(LMO)가 포함된 식품의 경우 유전공학평가위원회(GEAC)의 환경을 고려한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며, LMO가 포함되지 않은 GM식품의 경우는 FSSAI에 신청서를 직접 제출
 - FSSAI는 GM식품을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실험실을 지정
 
□ 중국 농업농촌부는 농업 유전자변형생물 안전관리 및 현대 종자 발전에 관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일부 조항을 수정한 규제에 대한 의견수렴을 12월 12일까지 진행한다고 발표
 ㅇ 정부는 종자 산업 분야에서 변화가 필요하며, 식량안보를 보장하는 해결책으로 생명공학 육종의 발전을 촉구해 왔음
 ㅇ 이미 승인된 품종에 도입된 GM형질은 승인신청 전 1년간의 시험재배 수행만을 거치도록 하고 있어, 산업계에서는 GM상업화를 위해 승인 절차가 명확하고 간소화된 것이라고 평하고 있음
 
3. 기타 단신
□ 미국 플로리다키스, GM모기 방출 주요 단계 완료
 ㅇ 영국의 Oxitec社와 플로리다키스 모기 통제 지구(Florida Keys Mosquito Control District)는 뎅기열, 지카, 치쿤구니아와 같은 위험한 질병을 퍼뜨리는 것으로 알려진 모기를 통제하기 위한 시험 프로젝트의 주요 단계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발표
 - 지난 4월부터 수백만 마리의 수컷 GM모기 유충으로 채워진 130개 상자를 플로리다키스의 일부 지역에 배치하여 방출시킨 후 회수
 
□ 한국 농진청, 머신러닝 기반 GM농산물 판별기술 개발
 ㅇ 농촌진흥청은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반 기술을 개발
 - 이 기술을 일반 유채, GM유채, 배추 등 식물체 4종에 적용한 결과 95% 이상의 정확도로 GMO를 판별
 
□ 인도 카르나타카州, GM면화와 옥수수의 시험재배 어려울 듯
 ㅇ 카르나타카州 산림생태환경부는 승인을 염두하고 BT면화와 옥수수의 시험재배 수행 제안에 대한 의견수렴1)을 실시하여 200개 이상의 의견을 접수
 ㅇ 접수된 의견의 대부분 반대가 많았고, 州 생물다양성위원회도 州정부에 시험재배 금지를 요청함에 따라 ‘NOC(No Objection Certification)2)’를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