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차세대리포트] 새로운 팬데믹,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 등록일2021-12-22
  • 조회수367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2-15
  • 출처
    한국과학기술산림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팬데믹#감염병#코로나19#백신
  • 첨부파일
    • pdf [차세대리포트] 새로운 팬데믹 어떻게 준비해야할까_2021-04.p... (다운로드 10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차세대리포트]

새로운 팬데믹,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목차


■ 들어가기
Ⅰ. 팬데믹 대처의 첫 단계 신종 감염병의 특성 규명 신종 감염병의 질병양상 파악
   - 신종 감염병의 특성 규명
   - 신종 감염병의 질병양상 파악
 
Ⅱ.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준비할 것들 코로나19 팬데믹이 주는 교훈
   - 코로나19 팬데믹이 주는 교훈
 
Ⅲ. 능동적이고 신속한 팬데믹 대응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적용 건강과 생활, 그리고 환경 등에 대한 빅데이터
   - 건강과 생활, 그리고 환경 등에 대한 빅데이터
 
Ⅳ. 한반도 팬데믹 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 남북 생명보건단지 조성
   - 남북 생명보건단지 조성
 

■ 맺음말



◈본문


들어가기
지난 1969년 미국의 공중보건국을 이끌고 있던 윌리엄 스튜어트(William Stewart) 국장은 이렇게 선포하면서 더는 인류가 감염병에 시달리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엔 인류 역사상 최악의 감염병으로 기록되었던 천연두의 종식을 눈앞에 두고 있었고, 홍역이나 풍진 같은 감염병들 역시 관련 백신이 개발되어 환자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천연두는 윌리엄 스튜어트 국장의 발언 이후 8년 뒤인 1977년, 소말리아에서 발견된 환자를 끝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공식적으로 종식이 선언된 바 있다.
 
하지만 스튜어트 국장의 확신은 불과 10여 년도 채 지나지 않아 깨지게 된다. 그가 공언했던 바와는 달리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았고, 그 발생 빈도는 과거에 비해 오히려 높아졌다.
 
1980년대의 에이즈를 비롯하여 2000년대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등 무서운 감염병들의 연이은 등장은 감염병과의 전쟁에서 인류가 아직 승리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팬데믹은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타격을 안겨주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가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의 안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스크린샷(90).png

 
많은 과학자들과 제약회사들이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코로나19는 점점 더 관리 가능한 상황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문제는 그 이후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으며, 어쩌면 코로나19 보다 치명률이 훨씬 높고 전파력도 강한 감염병이 출몰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문명 발달에 따른 사람들의 거주 영역 확대와 지구 온난화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생태계 교란, 그리고 이동 및 교역의 증가로 인해 감염병 등이 빠르게 전파될 수 있는 현대의 환경은 또 다른 신종 감염병의 지속적인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사태의 교훈을 바탕으로 또 다른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미리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감염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과학기술의 도움 없이는 사실상 불가한 만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범국가적 차원의 상시 감시체계 확립, 백신 및 치료제의 신속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의 확보 등의 플랫폼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차세대리포트에서는 전 세계가 코로나19 확산에 맞서 싸워 왔던 방법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감염병 확산을 가정하여 감염병에 대한 특성 규명을 시작으로 백신 및 치료제의 개발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들, 그리고 신속한 대처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방안 등을 담았다. 이와 더불어 남북생명보건단지 조성 등의 협력 방안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대한 피해 최소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