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1 카타르 보건의료 산업
- 등록일2022-01-04
- 조회수352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1-03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 보건의료 전략#카타르 월드컵
2021 카타르 보건의료 산업
◈목차
산업개요
주요 정책
주요 이슈
산업 동향
SWOT 분석
진출전략
◈본문
산업개요
보건의료 분야 GDP 규모는 2020년 기준 38억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의 2% 수준이다. 정부 주도의 국가 보건의료 전략(National Health Strategy)에 따라 보건 인프라 확충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주요 정책
카타르 정부는 중장기 국가 비전인 QNV(Qatar National Vision) 2030을 수립하고 공공보건부(Ministry of Public Health) 추진 하에 보건의료 분야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보건의료 전략은 의료 시설 및 의료진 개선, 의료 접근성 및 품질 개선, 주요 질병률 감축 등을 통해 정신 및 육체적으로 건강한 인구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1년 1차 전략인 NHS2011-2016 추진 후 2차 전략 NHS 2018-2022 실행 중이다.
공공보건부는 국가 보건의료 전략에 대한 세부 실행 전략 중 하나로 의료시설 확충 전략(Qatar Healthcare Facilities Master Plan)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의료시설 개선 중이며, 국영 병원을 운영하는 Hamad Medical Corporation(HMC)은 이 전략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병상, 진료과, 수술실, 주차장 수를 2015년 대비 2~3배 수준으로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 민간 의료 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국영 의료 보험 서비스 SEHA를 단계별(카타르인 여성→전체 카타르인→외국인 거주자)로 시범 도입하여 추진하였으나, 예산 및 구조적 문제 등으로 인해 2015년부로 잠정 중단되었다.
현재는 카타르인 및 카타르 거주 외국인들이 Health Card를 발급 받아 보건소 및 국영 병원 서비스를 무료 또는 민영 병원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운영되고 있으며, Hamad Medical Corporation 산하 국영 병원 진료는 국적을 막론하고 1차적으로 보건소 의사를 통해 소견서를 받아야 이용할 수 있다.
카타르인이 해외에서 진료 및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 카타르 현지 의사의 서면 소견서를 받은 후 보건부 승인을 거쳐야 의료비를 지원 받을 수 있다.
주요 이슈
World Bank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카타르의 병상 수는 12.5개로 세계 평균치인 28.9개 보다 낮은 편이며, 의료 인력 또한 정부 주도의 보건의료 정책 실시에 따라 증가세에 있으나 일부 정부 의료 서비스는 대기자가 많아 국적을 불문하고 수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의료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현지 제조업이 발달되지 않아 의료기기 및 의약품에 대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카타르 내 의약품 및 의료용 소모품 제조사 5개에서 22개 제품을 생산 중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