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보건산업분야 정부 R&D 투자의 효과 분석 연구 : 기업의 자체 R&D 투자 및 경제·사회적 성과에 대한 기여효과 중심으로

  • 등록일2022-01-05
  • 조회수342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2-0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부 R&D 투자#바이오헬스(보건)산업
  • 첨부파일


보건산업분야 정부 R&D 투자의 효과 분석 연구

기업의 자체 R&D 투자 및 경제·사회적 성과에 대한 기여효과 중심으로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의의



◈본문


1. 연구배경 및 목적
 

 

○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의 수요 증가가 보건산업 분야의 시장 규모 확대 견인과 더불어 정부와 국민의 의료비용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으로 작용
- 65세 이상 고령인구 13.4%가 전체 의료비용의 39.0%를 사용 (심평원, 2018)
 
○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품목이 2020년도에 최초로 국내 10대 주요 수출품목으로 진입하는 등 가시적 성과 창출
- 바이오헬스 분야를 혁신성장 BIG 3분야에 포함하여 집중 육성 계획 발표(기재부, 2020)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민들의 바이오헬스(보건)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증대
 
○ 보건산업은 대표적인 과학기술 지식기반 산업으로 연구개발 활동이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나 복지관련 재정 투자 요인 및 의료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정부 R&D 투자에 대한 경제·사회적 책무성(economic and social accountability) 요구가 강화됨
- 이에 따라 정부 R&D 투자에 대한 사회적 계약(social contract)도 경제·사회적 미충족 수요나 이슈 해결을 위한 역할 수행으로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는 상황에 직면
 
○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정부 R&D 투자 담보를 위해 정부 R&D 투자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위한 근거 마련 필요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가 기업의 자체 R&D 투자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보건산업 분야 기업의 경제·사회적 성과에 대한 정부 R&D 투자의 기여효과와 영향력 수준을 확인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