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0

  • 등록일2022-01-17
  • 조회수348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1-11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헬스케어#4대 보건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0


◈목차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22년 헬스 IT 5가지 트렌드 전망
 · 영국 Consultant Connect, 원격의료 로봇 출시
 · 유럽 STOA, 5G 통신망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일본 디지털청, COVID-19 접종증명서 앱 공개
 · 보건의료산업, ’22년에 나타날 3가지 주요 트렌드
 · 미래의 병원, 디지털 전환을 추진
 
4대 보건산업
 · 미국 FDA, Pfizer의 COVID-19 경구용 치료제를 최초 인가
 · 미국, 맞벌이 부모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COVID-19
 · 유럽 EC, 의약품 부족 상황에 대한 정책 대안 제시
 · 유럽, 체외진단의료기기규정을 점진적으로 적용
 · 중국 NMPA, 3세 미만 어린이 대상의 화장품 판매 불허
 · 바이오의약품 산업, 혁신기술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 중
 · World Bank, 보편적 의료보장에 관한 보고서 발간
 · 의료기기,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위탁생산 수요가 급증
 




◈본문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 ’22년 헬스 IT 5가지 트렌드 전망
 

□ 미국 헬스IT 전문매체인 베커스헬스IT(Becker’s Health IT)에 따르면, ’22년 미국 디지털헬스 분야에서는 △디지털헬스분야에 대한 투자확대 △원격의료 보상확대 △병원 사이버보안 기능 강화 △헬스IT M&A △혁신 이니셔티브 추진 등이 이루어질 전망
· ’21년 10월 스타트업 엑셀레이터인 록헬스(Rock Health)에 따르면 디지털헬스 스타트업은 ’21년 1/3분기 동안 213억 달러를 조달하여 ’20년의 총 자금조달규모 146억 달러를 초과 
· 메디케어및메디케이드서비스센터(CMS)는 COVID-19 공중보건비상사태(PHE) 외에도 지방 보건 클리닉과 연방 인가보건센터에서 수행하는 정신건강 원격의료 방문 비용을 보상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시적으로 보장하는 원격의료 서비스 항목을 ’23년 12월 31일까지 연장
· ’20년 1월 이후 거의 40개의 랜섬웨어 불법단체가 병원, 의료시스템 및 의료서비스 제공업체를 사이버 공격함에 따라 병원들은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보호 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
· ’21년 Microsoft 및 Oracle과 같은 업체가 의료분야로 진출함에 따라 헬스IT의 M&A가 지속될 것이며, Kaiser Permanente와 Mayo Clinic이 병원수준의 재택 간병 지원을 위해 ’21년 10월에 COVIDAdvanced Care at Home Coalition’을 출범하는 등 혁신 이니셔티브가 추진될 전망
[ Becker’s Health IT, 2021.12.22.; Rock Health, 2021.12.13.]
 
 
 
 
영국 Consultant Connect, 원격의료 로봇 출시
 
□ 영국 원격의료 제공자인 컨설턴트커넥트(Consultant Connect)社가 신규 개발한 원격의료 로봇기술은 COVID-19 기간동안 병원에 대한 진료부담 압력을 완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 
· Consultant Connect社의 원격의료 로봇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원격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수많은 환자들의 통원 비용을 크게 낮출 것으로 기대
 * Consultant Connect에 의해 영국 리버풀에 소재한 Liverpool Women’s Hospital과 Alder Hey Children’s Hospital, 레스터에 소재한 University Hospitals of Leicester NHS Trust에서 원격의료 로봇 실험을 진행
· 미국의 원격의료 기업 텔레닥(Teladoc)과 ’21년 1월에 합병한 원격의료 로봇 전문업체 Consultant Connect는 정교하게 설계된 카메라 앵글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혈압이나 체온과 같은 수치들의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현재 의사가 감당할 수 있는 환자의 수를 크게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Digital Health, 2021.12.22.; T he Guardian, 2021.12.21.] 
 
 
 
 
유럽 STOA, 5G 통신망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5G가 최근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자기장(EMF)에 대한 노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어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연구서비스부는 과학기술대안평가(STOA)보고서를 통해 5G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제반 환경, 정책 방향을 분석 
· ’11년부터 급증한 무선 주파수의 발암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결과, 700~3,600 MHz 대역의 저주파 5G 주파수는 제한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는 연구가 있는 반면, 24.25~27.5 GHz 대역의 고주파 5G 주파수가 인간이나 동물에게 암을 유발시킨다는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
· 국제 암 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무선 주파수를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2B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19년 무선 주파수에 대한 노출이 암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해 시급하게 재평가할 것을 권고
[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 2021.12.06.]
 
 
 
 
일본 디지털청, COVID-19 접종증명서 앱 공개
 
□ 일본 디지털청은 ’21년 12월 중순 COVID-19 접종증명서 앱을 공개한 가운데 대규모 의료정보를 디지털화함으로써 자국의 의료정보 데이터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현재 미국과 캐나다는 SMART Health Cards(SHC), EU는 Digital COVID Certificate(EU-DCC), 중국은 국제여행건강증명(国際旅行健康証明)을 디지털 증명서 규격(規格)으로 삼아 정책을 추진
· 블록체인 등 기술적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구조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EU와 중국은 국가가 보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미국과 캐나다는 SHC를 이용해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을 채택
· 일본의 COVID-19 접종증명서 앱은 ‘백신접종기록시스템(Vaccination Record System, VRS)’과의 연계 및 마이넘버 카드 이용으로 진정성을 담보할 예정이며 특히 SHC를 이용해 미국과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취급
· 미국과 일본이 SHC를 채택함으로써 GDP 순위 세계 1위와 3위 국가가 하나의 규격을 지지하는 상황이 됐는데 미국이 SHC를 선택한 것은 의료 데이터의 국제표준(HL-7 FHIR, WC3)에 준거한 오픈 스탠다드라는 점이 크게 작용
· EU와 중국은 독자 규격을 채택하고 있지만 COVID-19 바이러스의 갑작스런 유행으로 등장한 이러한 증명서 규격은 향후 모든 의료 데이터 규격의 기초가 될 수 있고 미래 의료 데이터가 나아갈 방향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
[ 東京財団政策研究所, 2021.12.24.; Impress Watch, 2021.12.21.]
 
 
 
 
보건의료산업, ’22년에 나타날 3가지 주요 트렌드
 
□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는 ’22년 헬스케어 업계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혁신에 초점을 맞춘 환경·지속가능성·지배구조(ESG) 전략 △바이오테크혁신을 가속화하는 데이터분석 △소비자 관련 원격의료 및 디지털진료솔루션을 선정
· (ESG 전략) 제약사 및 바이오테크 기업들이 환경·지속가능성·지배구조(Environment, Sustainability, Governance, ESG) 모델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환자 개인에 대한 맞춤형 치료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
· (데이터 분석) 유전체와 질병에 대한 이해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생명과학 관련 기업들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투약에 따른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에 의존하는 경향이 더욱 심화될 전망
 * 이미 의료 전문가들은 특정 의약품이 효과를 보이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집단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추적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
· (원격의료 및 디지털진료솔루션) 특히 급성 및 만성 질병의 관리 및 치료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의 전문가들은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으로 기대
[ Forbes, 2021.12.14.; Pharmaceutical Technology, 2021.12.2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