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디지털병리 산업 동향

  • 등록일2022-02-03
  • 조회수374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1-25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병리#WSI 스캐너
  • 첨부파일


글로벌 디지털병리 산업 동향


◈목차


  I . 서 론

 Ⅱ. 시장 분석
 Ⅲ. 시장 및 주요 기업 동향
 Ⅳ. 결론




◈본문


I . 서 론


⊙ 디지털병리(digital pathology)란 세포 및 조직의 현미경 검경을 위해 사용하던 유리 슬라이드를 고배율의 이미지 정보를 유지한 상태로 스캔하여 디지털 파일로 전환하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병리학적 평가를 하는 시스템(식품의약품안전처)

- 전통적인 병리학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이미징 시스템 및 전체슬라이드이미지(Whole Slide Image, WSI) 스캐너가 개발
- WSI 스캐너는 몇 분 안에 슬라이드의 전체 조직 섹션에 대한 여러 이미지를 캡처한 후, 이를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하여 병리학자가 컴퓨터 모니터에서 검토·분석할 수 있는 WSI를 생성
- 미국에서는 필립스(Philips)社의 IntelliSite Pathology Solution 및 라이카(Leica)社의 Aperio AT2 DX System 등이 FDA로부터 승인을 획득


⊙ 디지털병리는 △즉각적인 영상 공유 및 개선된 협업을 제공 △인공지능(AI) 사용이 가능 △의학적 혁신을 제공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병리학자의 신체적 부담 완화 등의 이점을 제공
- (즉각적인 영상 공유 및 개선된 협업) 클라우드 컴퓨팅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의료 이미지를 용이하게 저장·관리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병리는 병리학자가 동료와 이미지를 공유·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 (AI 사용 가능) 계층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을 개선할 수 있으며, 통찰력 있는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
- (의학적 혁신 제공) AI를 통해 방대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캡처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새로운 가설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되어, 병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
-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가능) 디지털 버전은 물리적 슬라이드 보다 복제와 검색이 용이하며,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패턴을 식별하거나 특정 유형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가 가능
- (병리학자의 신체적 부담 완화) 과거 대부분의 시간을 구부린 상태로 작은 뷰파인더에 집중하던 병리학자들은 컴퓨터 화면에서 고해상도의 대형 이미지를 보고 많은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신체적 부담 완화


⊙ 최근 글로벌 디지털병리 산업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기술혁신과 가치사슬 통합 움직임에 대해 우리 산업계와 정부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
- 2021년 9월 AI 병리진단 솔루션이 최초로 미국 FDA 승인
- 미국, EU, 중국 등 선도국 업체들을 중심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AI 알고리즘 등을 통합하여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려는 움직임 활발
 
 
 
Ⅱ. 시장 분석

캡처1.png


1. 디지털병리의 촉진 요인
 
⊙ 의료의 디지털화
- 의료는 환자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비용을 절감하면서 치료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음
- 작업 흐름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검사 소요시간을 감소시키며, 치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의료분야에서 디지털화 채택이 가속화
 
 
⊙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서비스 사용 증가
- 디지털병리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물리적 스토리지를 사용할 경우, 고가의 비용이 드는 추가 하드웨어와 공간이 필요
- 공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물리적 공간 없이도 대용량 스토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
 
 
⊙ 임상연구에서의 디지털병리 적용
- 코로나19 등 세계적인 감염병의 유행(pandemic)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연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질병 진단에서 중요한 도구인 병리학의 활용이 확대
- 임상연구에서 병리학의 적용은 AI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임상시험수탁(CRO) 기관의 디지털병리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 실험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병리 채택 증가
- 디지털병리는 AI를 통해 실험실 운영과 환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병리학적 분석 속도 또한 제고할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