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브라질 의료 산업 동향
- 등록일2022-02-08
- 조회수329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2-07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 산업#브라질
- 첨부파일
브라질 의료 산업 동향
◈목차
1장 국가 개황
2장 브라질 의약품 시장
3장 브라질 의료 장비 시장
4장 브라질 진출 한국 기업
5장 관련 단체 현황
6장 브라질 인증 기관 현황
7장 참고 문헌
◈본문
1장 국가 개황
1-1 일반 현황
1-2 경제 현황
1.2.1 경제 동향
KOTRA의 ‘브라질 국가 정보’에 의하면, 브라질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 실업률 증가, 금리 인상, 재정 수지 악화 등으로 인해 2015년에는 -3.5%, 2016년에는 -3.28%로 2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2017년의 경우, 소비가 늘고 자동차를 비롯한 여러 산업 분야에서 회복세를 보여 GDP 성장률 1.32%를 기록하였다. 2018년에는 2%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성장률이 1.78%에 그쳤다. 이처럼 기대에 못 미치는 성장률은 대통령 선거에 따른 정치 불안과 환율 불안, 화물 연대의 대대적인 파업으로 인한 물류 대란으로 제품 생산에 큰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여전히 높은 실업률과 고환율, 정치 혼란 등으로 1.41%의 낮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경제 활동이 3월부터 급속하게 둔화하였고, GDP 성장률은 –4.06%를 기록했다.
KOTRA의 분석에 따르면, 브라질 경제의 아킬레스건 가운데 하나인 재정 위기 해결을 위해 연방 정부는 물론 지방 정부도 민영화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고질적인 재정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연금·조세 등 분야의 개혁과 함께 공기업 민영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민영화에 더욱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일본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
-
다음글
- 미래전략산업브리프 22호
관련정보
지식